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 – 부활의 고백과 신앙

Sunday, April 3rd, 2016

6548846465_1c747860ee_b.jpg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 – 부활의 고백과 신앙 (요한 20:19~29)1

이제는 “의심하는 토마”라는 낙인을 지울 때도 됐습니다. 이런 별명은 요한복음 기자의 미필적 고의입니다. 오늘 복음 이야기에 나타난 신앙고백과 초대 교회의 전설이 전하는 선교 활동을 보더라도, 토마는 부활의 선교 정신을 용기 있게 실현한 사도입니다. 다른 제자들이 “무서워서” 문을 걸어 잠그고 모였던 집에 그는 없었습니다. 예수님을 뵈었다는 소식에야 그 집에 돌아와 애타게 예수님을 찾았습니다. 그는 어디에 있었을까요?

이 의문은 두려움에 떨던 다른 제자들과는 달리 토마가 위험을 무릅쓰고 밖에서 예수님의 시신을 찾으러 다녔다는 상상력으로 우리를 이끕니다. 이 절박하고 애타는 용기가 그의 신앙고백으로 이어집니다.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다른 제자들 가운데 나타나시어 평화의 인사를 나누시고 ‘성령의 숨’을 불어넣으셨지만, 그들은 그다음에도 여전히 ‘문을 걸어 잠그고’ 있었습니다. 부활하신 예수님과 토마만이 두텁게 쌓아 올린 마음의 벽을 자유롭게 넘나듭니다. 게다가 예수님의 인사와 말씀에 자신의 입술과 마음으로 응대하는 사람은 토마 뿐입니다.

신앙의 문제는 ‘무서워서 안으로 문을 닫아거는’ 상황에서 비롯하곤 합니다. 상실감과 배신감에 지쳐서 자기 마음을 걸어 잠그면, 오히려 자기 연민에 빠지거나 새로운 죄책감이 찾아듭니다. 자신의 신앙 체험에만 몰두하다가 자신의 의로움을 내세우거나, 자신이 이뤄낸 성과에 집착하여 자기 안녕이라는 좁은 성안에 스스로 갇히곤 합니다. 이 위태롭고 안절부절못한 우리에게 부활하신 예수님이 닫힌 벽을 뚫고 부활의 인사를 건네십니다. “너희에게 평화가 있기를, 너희 자신을 용서하기를!”

부활하신 예수님은 우리 삶을 봉쇄하고 역사를 왜곡하는 온갖 분열과 차별, 편견과 미움의 벽을 꿰뚫고 들어오십니다. 우리는 스스로 완벽할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부서지고 결함 있는 ‘틈’을 인정할 때, 부활의 생명이 그 ‘틈’ 사이로 들어오십니다. 우리 삶에서 얻은 찢어지고 터진 상처 사이, 의심하며 흔들리는 마음의 틈이야말로 하느님의 은총이 우리 안에 들어오는 통로입니다. 꿰뚫고 들어오시는 부활의 생명에 자신의 연약함을 여는 일이 참된 용기이며 바른 신앙입니다.

토마는 자신의 불완전한 신앙을 정직하게 대면했습니다. 정직한 의문을 부끄러워하지 않았습니다. 평화와 용서라는 성령의 숨을 먼저 받은 다른 제자들에게서는 신앙고백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독특한 체험이나 특정 교리를 덮어놓고 확신하는 일은 하느님의 은총에 자신 전체를 개방하는 신앙과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불완전하게 흔들리는 삶 앞에, 위험을 무릅쓰고 신앙의 진실을 찾으려는 애타는 용기 앞에, 부활하신 예수님은 평화와 용서의 음성으로 우리를 감싸며 우뚝 서 계십니다. 그때라야 비로소 우리는 자신의 목소리로 응답할 수 있습니다.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4월 3일 부활 2주일 주보 []

더 깊은 곳으로 – 신앙의 사도직

Sunday, February 7th, 2016

The-Call-of-Simon.jpg

더 깊은 곳으로 – 신앙의 사도직 (루가 5:1~11)1

“깊은 데로 가라.” “두려워하지 마라, 너는 이제부터 사람을 낚을 것이다.” 예수님께서 평생 어부로 살았던 베드로를 제자로 부르시어 새로운 임무를 주십니다. 이 부르심은 우리 신앙생활의 의미와 방향을 보여줍니다. 더 깊은 곳으로 가서 다시 도전하고 두려움 없이 사람을 만날 때, 신앙과 선교의 사도직이 펼쳐집니다.

베드로는 밤새 그물질을 했지만, 잡은 고기가 없었습니다. 누구나 노력하고 대가와 보상을 바라지만, 세상일이 늘 뜻대로 되지는 않습니다. 땀과 눈물이 모자란 탓이 아닙니다. 어찌할 수 없는 외부 요인이 더 많습니다. 이때 많은 사람은 절망감과 배신감의 유혹에 빠지곤 합니다. 그 감정이 커서 다른 이의 조언에 귀를 막고 마음을 닫기도 합니다. 이때 예수님의 음성이 들립니다. 실패의 감정이 이끄는 자기 폐쇄의 유혹을 넘어서라는 초대입니다. 이 초대에 응답하는 일이 신앙입니다. 이때 새로운 사건이 펼쳐집니다.

“깊은 데로 가라.” 예수님의 초대는 명백한 해결책이나 분명한 위로 같지 않습니다. 오히려 더 큰 위험으로 이끄는 것처럼 들립니다. 더 깊은 데로, 더 멀리, 더 위험한 도전을 할 때, 자기 안위와 폐쇄의 그늘을 넘어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 깊은 바닥은 아직 꿈틀거리는 자기 본위의 생각을 완전히 내려놓고, 그 죽음을 경험하는 밑바닥입니다. 자기 중심성은 가볍고 표면적인 삶의 태도를 만듭니다. 그래서 작은 바람에도 출렁거리기 쉽습니다.

깊은 곳은 위험할지언정, 흔들리지 않는 깊이와 새로운 삶의 차원을 발견하도록 합니다. 절망이든 행복이든 그 깊은 곳에 닻을 내릴 때 우리 삶은 어떤 어려움에도 의연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우리는 그 깊은 곳에서 삶의 가장 큰 절망과 슬픔의 끝에 다다른 많은 사람을 선물로 발견합니다. 이 만남 속에서 우리는 외롭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들과 손잡아 연대하여 바닥을 치고 떠오를 힘을 얻습니다.

신앙의 깊은 모험은 종교에 흔하게 퍼진 격려의 덕담이나 수사가 아름다운 잠언을 넘어섭니다. 우리 신앙의 배움을 더 깊은 곳으로 끌어가 함께 대화하며 심화합니다. 신앙인은 어떤 선생의 가르침에 그저 감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 신앙의 모험과 체험과 배움으로 두려움 없이 다른 낯선 이들을 이끄는 사람입니다. 이것이 두려움 없는 신앙인의 사도직입니다. 이렇게 우리는 진실로 “사람을 낚는 사도”가 됩니다.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2월 7일 연중 5주일 주보 []

교회 – 역사의 희망이 움트는 자궁

Sunday, December 20th, 2015

교회 – 역사의 희망이 움트는 자궁 (루가 1:39~45)1

하느님의 희망은 잘 보이지 않은 곳, 버려진 곳, 잊혀진 곳에서 움틉니다. 유대 땅 베들레헴은 보잘것없고 실패한 사람들이 어쩔 수 없이 모여든 종착지입니다. 성공하여 어깨를 으쓱대는 세상이 눈을 주지 않는 지역과 집안이고, 힘을 얻은 집단이 업신여기는 신분과 지위입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꿈은 스스로 막장에 이르렀다는 절망의 현실을 거름 삼아 뿌려진 씨앗입니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어둡고 습한 곳에 숨죽였던 사람들이 함께 만나 손을 모으고 어깨를 기댈 때 새로운 생명이 움틉니다. 이 생명은 옛 시대의 지혜와 새 시대의 희망이 함께 만날 때 자라납니다. 이것이 아기 예수 탄생을 눈앞에 둔 우리가 바라보는 신비입니다.

세대 간 단절과 갈등이 깊어진다는 우려가 큰 시절입니다. 역사의 경험과 지혜가 풍요롭게 이어지지 않고, 오해와 갈등으로 막히는 일이 적지 않습니다. 이 현실을 서로 안타까워하면서도 서로 더 깊이 이해하며 지혜를 잇대려는 노력은 부족합니다. 그러나 새로운 생명의 탄생은 부부와 가족 친지에게 기쁨과 평화를 안겨줍니다. 젊은 부부만이 아니라 할아버지 할머니에게도 크나큰 기쁨의 선물입니다. 예수님께서 그런 아기로 오십니다. 이 기쁨으로 세대의 갈등을 멈추고, 험한 세상 속에 온 아기의 미래를 위해 화해를 마련하라는 부탁입니다. 갓 태어난 생명의 신비에 모두 감격하라는 초대입니다. 여기서 평화가 열립니다.

나이 적은 마리아는 나이 많은 엘리사벳을 먼저 찾아갑니다. 혼외 임신 소식에 당황하고 불안했을 마리아는 비슷한 경험으로 아기를 가진 엘리사벳의 경험과 지혜를 구합니다. 나이 든 엘리사벳은 젊은 마리아를 환대하고 그가 복되다고 높이 찬양합니다. 속 깊은 격려입니다. 이 만남 속에서 새 시대의 희망인 아기들도 서로 알아보며 기뻐 뛰놉니다. 새 시대가 옛 시대에 기대고, 옛 시대가 새 시대를 격려하여 찬양할 때, 역사는 이어지고 풍요로워져서 새로운 길이 열립니다. 세대가 서로 만나 환대하고 경청할 때 공감이 열립니다. 각 세대가 품은 꿈이 공명할 때 희망과 기쁨이 뱃속을 꿈틀거리며 발길질을 합니다.

교회는 이러한 공명으로 역사와 구원의 희망이 움트는 자궁입니다. 교회는 전례 안에서 남녀노소 모두 모여 한목소리로 찬양하고, 하느님의 구원 이야기를 같이 듣고, 그리스도께서 주신 몸을 함께 먹고 나눕니다. 이때 우리는 구원의 삶을 이미 살아가기 시작합니다. 이 공감을 나눌 때, 습하고 어두운 자궁은 위대한 생명의 신비를 담은 아름다운 구원의 공간이 됩니다. 아기를 품은 마리아의 노래는 이 구원의 삶을 노래합니다. 힘과 부를 얻으려고 경쟁하고 짓누르는 소수의 힘과 가치는 흩어져야 합니다. 실패하여 절망한 사람들, 비천하고 배고픈 사람들을 향한 복음이 더 많은 사람에게 기쁨과 평화를 가져다줍니다. 신앙인은 아기를 고대하는 마리아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하느님의 희망이 엘리사벳과 마리아의 만남으로 펼쳐지고, 하느님의 꿈이 세례자 요한과 예수님의 협력으로 피어납니다. 교회는 모든 세대가 이 희망과 꿈을 지니고 역사의 경험과 지혜를 이어달리기하는 곳입니다. 교회는 만남과 나눔으로 희망의 역사를 이어갑니다. 교회는 세상에 새로운 삶을 선사하는 신앙인을 낳는 거룩한 자궁입니다.

Magnificat red.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2월 20일 대림 4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