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 벗 되어 서로 머무는 일

Sunday, May 10th, 2015

menas_friend_jesus.jpg

사랑 – 벗 되어 서로 머무는 일 (요한 15:9~17)1

“서로 사랑하여라. 이것이 너희에게 주는 나의 계명이다”(요한 15:17). 그리스도교 신앙과 실천의 핵심을 드러내는 예수님의 말씀입니다. 그리스도인이라면 늘 되새기며 실천하려는 ‘새로운 계명’입니다. 그런데 다시 살펴보면, 여느 종교나 도덕의 가르침과 별로 다를 바 없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 뜻과 실체를 깊이 새기지 않으면, 세상에 흘러넘치는 빈말이 되기에 십상입니다. 그리스도교의 ‘사랑’은 세상의 기존 질서가 정한 테두리와 가치에 도전하고 초월할 때라야 새로울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교의 사랑은 특권과 차별의 벽을 넘어섭니다. 벽을 넘는 힘은 성령에게서 옵니다. 오늘 사도행전(10:44~48)이 전하는 성령의 내림 사건이 전하는 진리입니다. 성령의 은총과 활동이 유대인의 제한과 벽을 훌쩍 넘어서 ‘이방인’에게로 확장되었습니다. 성령의 일은 그 누구도 ‘막을 수 없습니다.’ 혹시라도 이 일을 선민의식과 자기 신앙의 특권을 주장하여 막는다면 성령의 활동을 훼방하는 중죄에 해당합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와 교회를 가르는 빈부, 세대, 지역의 분열과 특권을 성령과 함께 넘지 않으면, 우리는 사랑을 입에 담기 어렵습니다.

그리스도교의 사랑은 환대의 실천으로 드러납니다. 사랑은 ‘함께 머무는 일’입니다. ‘함께 머물러 달라’는 초대가 예수님의 삶에 되풀이하여 등장합니다. 엠마오 가는 길에서 낯선 나그네에게 머물러 달라서 청한 제자들의 기억이 새롭습니다. 성령을 받은 ‘이방인’들도 베드로에게 ‘머물러 달라’고 청합니다. 예수님께서 협조자 성령의 내림을 약속하셨습니다. 우리 안에 ‘영’으로 더욱 깊고 친밀하게 머무시려는 까닭입니다. 요한 신학의 핵심은 예수님을 통하여 우리가 하느님 안에, 하느님께서 우리 안에 ‘머무는’ 관계입니다. 서로 초대하여 함께 머무는 관계가 사랑입니다.

그리스도교의 사랑은 서로 벗 되는 새로운 관계입니다. 세상이 만든 질서는 ‘주인과 종’의 질서입니다. 한쪽은 힘을 부리고, 다른 한쪽은 굽신거려야 하는 관계입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새롭게 펼친 질서는 ‘서로 벗 된 관계’입니다. 남녀노소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신앙 안에서 우리는 모두 ‘벗’입니다. 예수님마저 우리를 ‘벗’이라 부르셨는데, 우리가 누구를 ‘종’ 부리듯 할 수 없습니다. 그리스도교 신앙 전통은 이를 ‘동등 제자직’이라고 불렀습니다. 이 때문에 어느 교부는 ‘우정’이야말로 사랑의 가장 극진한 표현이라고 가르쳤습니다.

성령이 ‘이방인’인 우리에게 내렸습니다. 성령은 온갖 차별의 벽을 넘어 낯선 사람을 초대하여 함께 머물라는 용기를 줍니다. 교회는, 예수님께서 몸소 보여주신 대로, 서로 함께 ‘벗’으로 존중하는 삶을 훈련하는 장소입니다. 초월과 환대와 우정이라는 새로운 삶의 관계를 몸에 익히는 일이 사랑입니다. 이 사랑을 실천할 때 우리는 하느님의 선교를 감당하며,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다시, 사랑은 서로 벗이 되어 함께 머무는 일입니다.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5월 10일치 주보 []

깊은 우물 맛 나무 – 생명과 환대의 신앙

Monday, April 6th, 2015

깊은 우물맛 나무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 주교좌 성당)

있는 힘을 다해 나무를 심으라, 기도하며
그분께서 펼쳐진 하늘 아래에서는 모두 안전하리니
그분은 온 누리를 감싸시는 분
우리가 자칫 소홀하여 눈길을 주지 못해도
그분의 넓은 눈은 모든 것을 살피시리니
그분은 거룩한 나무를 원하시니
친히 그 나무를 키우시리라.
그 나무 자라지 않더라도,
그분의 사랑은
우리가 나누는 사랑과 신앙과 인내를
잊지 않으시리니

그분의 손에 모든 것을 맡겨라.

GFS의 태동과 초기 역사를 정리한 “GFS의 역사” History of the Girls’ Friendly Society (1911년 간행) 첫 장의 시작입니다. 19세기 당시 큰 사랑을 받았던 디나 크레이크(Dinah Claik)의 시를 인용하며, GFS 의 꿈을 격려하고, 그 꿈을 일구는 땀과 수고를 하느님께서 잊지 않으신다는 믿음을 되새겼습니다. 이 기록의 시점에서 백여 년이 흐른 지금 한국 GFS는 성공회 모든 교우와 더불어 어떤 꿈을 꾸며 나무를 심고 어떻게 길러내야 할까요?

세계 GFS 가 작은 씨앗으로 공식 출범하던 1875년, 그 꿈은 가난한 여성 노동자, 특히 어리고 젊은 여성들을 향했습니다. 이들에게 편안한 쉼터를 제공하고 자신의 삶을 가꾸는 대화의 장과 교육의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일에 지친 젊은 여성들이 피로와 가난에 짓눌려 자신의 꿈을 잃어버리는 순간에, 그 꿈을 일으켜 세워 그들과 함께 더 큰 꿈을 이루고자 했습니다. 가난한 여성은 정회원이 되고, 좋은 교육을 받은 여성들은 ‘도우미’ 회원이 되어 책을 읽어주고 대화를 이끌었습니다. 지위와 재산으로 갈라진 세상을 여성들이 나서서 싸매어 위로하고 온전하여 ‘거룩한 사회’로 회복하도록 애썼습니다. “기도하며 있는 힘을 다해 새로운 나무를 심었습니다.”

한국 사회가 여러모로 갈라져서 반목이 깊다는 우려가 큽니다. 그 안에서 젊은 세대의 목소리가 잦아들고, 특히 젊은 여성들의 처지가 더 나빠진다는 걱정이 깊습니다. 실은 이 걱정과 우려가 GFS의 깊은 희망이 자라나는 토양이었다는 사실을 기억합니다. 사회와 교회가 눈길을 주지 못하던 모퉁이를 찬찬히 살피는 GFS의 선교는 황량한 벌판에서 서성이는 이들을 환대하는 일이 우리 교회의 선교라는 사실을 되새겨 줍니다. 이 환대가 교회의 선교이며 신앙입니다.

이런 아름다운 환대와 사귐은 깊고 풍성한 신앙의 ‘우물’에서 나옵니다. 잠시 흘러 넘치는 빗물이나, 손쉽게 틀면 쏟아지는 수돗물과 같이 ‘얕은’ 물이 아니라, 새로운 ‘삶과 생명의 물’을 제공하는 ‘깊은 우물’입니다. 그 우물은 예수 그리스도의 삶입니다. 목마른 이들을 초대하고 동행하고 적셔주는 삶입니다. 그 우물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입니다. 다른 이들의 슬픔과 아픔에 참여하여 함께 흘리는 눈물입니다. 이 촉촉한 삶과 고난의 눈물이 모여 깊은 죽음으로 한없이 스며들어야 합니다. 그렇게 마련된 지하수가 바로 ‘영원히 목마르지 않는 물’이요, 부활의 생명입니다. 교회는 그 지하수를 퍼올리는 ‘우물’입니다. 그 ‘우물가’에 부활의 생명수를 머금은 나무들이 자라납니다.

GFS가 이 동행과 눈물과 생명의 깊은 우물물을 퍼올리는 마중물이기를 다짐합니다. 신앙의 역사와 전통, 전례와 영성의 깊은 우물에서 길어올린 독특한 물맛을 나누는 일이 선교입니다. 그 깊은 우물맛으로 사람을 기쁘게 하고 그 우물가에 큰 나무를 키워야 합니다. 여기서 교회의 미래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습니다. 그 풍성한 나무 아래서 많은 이가 열매와 진정한 쉼을 나눌 수 있습니다.

GFS의 증인들과 디나 클레이크는 우리와 더불어 여전히 노래합니다.

세월이 지나 그 나무 그늘 아래 사람들이 쉬리니
그 놀랍고 멋진 능력의 가지들이
그대들의 휴식과 잠을 위하여
아름답게 손짓하리니.
Tree_of_Life.jpg
  1. 한국 GFS 소식지 <우물가> 2015년 봄호 []

구원 – 오직 사랑만이

Sunday, March 15th, 2015

오직 사랑만이 (요한 3:14~21)1

오직 사랑만이 우리를 구원합니다. 종교는 사랑을 쉽사리 신의 속성이라고 가르칠는지 모릅니다. 철학은 사랑을 행복의 원리로 말하기도 합니다. 과학은 사랑을 인간 생존본능의 한 표현이라고 분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교 신앙에서 사랑은 움직이지 않는 속성이나 원리나 분석 대상에 머물지 않습니다. 역사와 삶 속에서 경험하고 기억하며 서로 선물로 주고 받는 사랑이기에 우리를 구원합니다.

인간은 하느님의 사랑 때문에 그분의 거룩한 수고와 숨결로 만들어진 작품입니다. 이 사랑을 기억하시는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실패가 반복되어도 마음에 두지 않으시고 늘 구원의 손길을 펼치십니다. 그러나 사랑에 겨운 나머지 사람은 딴생각을 하곤 합니다. 이집트에서 노예로 고생하던 이들을 사랑과 연민으로 보살펴 해방을 베푸셨지만, 사람들은 자신의 불편과 고통을 내세워 변덕을 부리고 사랑을 의심합니다.

여기서 사랑이 나뉩니다. 히포의 어거스틴 성인은 두 가지 사랑의 분열을 안타까워했습니다.

“사랑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거룩하고 다른 하나는 불순하다. 하나는 사회적 사랑이요, 다른 하나는 사사로운 사랑이다. 하나는 높은 도성에 속한 탓에 공동선을 생각하고, 다른 하나는 그 오만하여 공동선마저도 자기 개인의 것으로 만든다. 하나는 평화스럽고, 다른 하나는 반역한다. 하나는 진리에서 멀어진 인간들의 칭송보다는 진리를 더 중요하게 여기지만, 다른 하나는 어떻게든 칭송을 얻으려고 욕심을 부린다.

하나는 벗이 되고자 하고, 다른 하나는 질시한다. 하나는 자기에게 바라는 대로 남에게도 바라지만, 다른 하나는 남을 자기에게 복종시키려 한다. 하나는 이웃의 선을 위하여 권위를 행사하지만, 다른 하나는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권력을 휘두른다. 이 두 가지 사랑은… 세상 속에 섞여 있어 역사 속에서 계속될 것이지만, 마지막 심판이 그것을 가를 것이다”(De Genesi 11:15.20).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려는 사랑도 자칫 자신을 향한 좁고 인색한 이기심이 되기 쉽습니다. 종교가 이를 조장하는 일이 빈번합니다. 여전히 많은 종교가 자신을 향한 축복을 우선순위로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사회의 정의와 자신의 축복을 분리하면 하느님께서 창조 때에 마련하여 우리에게 숨결처럼 불어넣어 주신 넓고 깊은 사랑은 인색하고 고약한 자기 사랑이 되고 맙니다. 정치와 종교를 분리하면 이런 일이 생깁니다. 사회와 개인을 분리하면 종교의 가르침이 딴 곳으로 갑니다.

이처럼 분열된 사랑이 만드는 단죄와 심판을 거두시려고 예수님은 인간 고난의 극치를 몸소 겪으셨습니다. 무책임한 정치 권력이 그분을 십자가에 높이 매달았고, 부도덕한 종교 권력이 그분을 조롱했습니다. 그러나 고난은 축복의 결핍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 고통의 땀과 상처의 피가 새로운 삶의 새싹을 틔웠습니다. 춥고 어두운 땅에 갇혔던 씨앗이 봄(lent)의 빛과 생명으로 돋아나게 했습니다.

TheCloister_NY.png

눈을 돌리는 회개로 사순절 여정을 시작한 우리는 이제 눈을 들어 높이 매달린 예수님의 고난을 바라보며 세상 곳곳에 퍼진 고통을 느끼고 그 신음을 듣습니다. 사랑의 작품인 우리가 겪는 고통에 안타까워하시며 하느님께서 구원의 선물을 건네시는 손길에 응답하여, 우리도 하느님 사랑의 동료인 이웃에게 사랑의 눈길과 선물을 건네라는 말씀을 듣습니다. 우리 역시 누군가에게 선물이어야 합니다.

오직 이 사랑만이 우리를 구원합니다.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주보 2015년 3월 15일치 – 수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