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걱정, 진짜 신앙

Sunday, February 26th, 2017

cross_flower.png

가짜 걱정, 진짜 신앙 (마태 6:22-34)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 꽤 널리 알려진 이 티베트 속담에는 지혜와 핀잔이 함께 들어있습니다. 삶이 복잡하다 보니, 하느님께 모든 일을 맡기겠노라 다짐하는 신앙인의 삶도 염려와 걱정이 없을 리 없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걱정하는 신앙인을 핀잔하시지 않습니다. 다만, 그 이유를 밝히시고 우리 마음을 격려하시고, 마음의 방향을 바꾸라고 초대하십니다.

‘선택하십시오. 하느님입니까, 재물입니까?’ 우선순위를 정하라는 명령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사람이 먹을 것과 입을 것, 돈과 재물 없이 살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아셨습니다. ‘주님의 기도’에서도 분명히 ‘하루에 필요한 양식’을 달라는 요청이 있습니다. 삶에 필요한 재물을 주시는 분은 하느님이십니다. 하느님을 먼저 섬기는 일은 우리를 자유와 은총으로 이끌지만, 재물에 먼저 눈을 팔면 걱정과 불안의 노예로 전락합니다. 재물과 안정에 안달하다 생긴 불안과 걱정을 덜어달라고 하느님을 부르면 신앙이 아니라 염치없는 일입니다.

세상의 기준이 부추기는 재물의 성공과 지위의 성취는 우리를 자주 환상으로 이끕니다. 돈과 권력이 있으면 우리 사람을 마음대로 할 수 있으리라는 환상입니다. 오늘 사도 바울로가 경고하는 ‘자기기만’입니다(1고린 3:18). 이 환상이 현실이 되어서 잠시 기쁨이 넘치기도 하지만, 금세 또 다른 염려와 걱정에 사로잡히기 일쑤입니다. 마음과는 달리 타인의 성취가 부러움과 질시의 대상으로 다가오고, 자신의 처지가 부끄러워 보이기도 합니다. 얻은 사람은 그 성취감에 휘둘려 타인을 업신여기는가 하면, 얻지 못한 사람은 낭패감에 휩싸여 자신을 낮추어 봅니다. 재물이 가져다준 환상과 기만입니다.

하느님은 우리 존재 그 자체를 보십니다. 이사야 예언자의 입을 빌려 우리의 정체를 밝히십니다. 우리는 하느님께서 “손수 빚은 사람”입니다. 하느님의 수고와 숨결이 깃든 우리 존재가 저 잘난 환상과 저 못난 패배감에 둘러싸인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자신의 성공을 유지하거나, 자신의 상처를 보호하려 자기만의 ‘성’을 쌓기가 쉽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성이 아니라, 자신의 감옥이 되고 맙니다. 이 감옥에서 가진 것을 잃을까 염려하고, 더 상처받을까 걱정하고만 삽니다.

하느님께서 초대하십니다. “감옥에서 어서 나오너라”(이사 49:9). 웅크리고서는 사랑을 받을 수 없습니다. 자기 기만과 연민의 자기 중심성은 하느님의 사랑을 가로 막습니다. ‘가짜 걱정’에 휩싸여 자신의 위로와 안위를 먼저 구하지 말라는 말씀입니다. 하느님께서 어련히 하시겠느냐는 위로입니다. 그보다 먼저 “하느님 나라와 하느님께서 의롭게 여기시는 일을 구하라”는 명령에 따라는 사는 일이 ‘진짜 신앙’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 삶의 여러 질곡에서도 사랑으로 보살피시니, 우리는 세상을 자유와 정의와 평등으로 보살피는 신앙인입니다.

하느님의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여라

Sunday, February 19th, 2017

A Pair of Trees, Dearborn, Michigan, USA. 1995  

하느님이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여라 (마태 5:38-48)

종교와 신앙은 이 세상에서 필요한 것을 구하고, 자신이 원하는 일을 이루려는 마음에서 생겨났습니다. 연약한 자신보다 더 큰 능력자를 신으로 만들어 그 도움을 빌자는 마음이 생겨납니다. 불행을 피하고 복을 구하는 마음이야 인지상정입니다. 그런데 인간의 연약함을 틈타 종교를 악용하는 일이 벌어집니다. 자신을 종교의 숭배 대상으로 삼고 사람들을 얽어매기 시작했습니다. 하느님께서 이때 등장하셨습니다. 인간이 만든 종교의 신과 결탁하여 사람을 짓누르는 정치권력에 대항하시는 하느님입니다. 이집트에서 노예의 탈출을 이끄신 하느님이십니다.

이 해방과 자유의 경험 속에서 하느님은 인간을 평등하게 창조하셨다는 기억의 신앙을 마련하셨습니다. 가장 높으신 하느님이 보시기에 인간의 우열다툼은 우습기만 합니다. 그분의 햇빛과 비를 혼자서 독점할 수 없습니다. 인간은 창조의 하느님 앞에서 모두 같습니다. 다만, 인간은 하느님보다 낮은 미물이 아니라, 하느님의 사랑으로 태어난 보물입니다. 이 하느님의 사랑을 기억하고, 사람들 저마다 그 사랑을 품고 있다는 확신이 그리스도교 신앙입니다. 이 관계를 기억하며 서로 존중하고 예의를 지키려는 약속이 율법입니다. 그런데 다시 존중과 예의의 율법이 남을 억누르고 판단하는 기준이 되었다면요? 개혁과 회복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은 율법의 뜻을 회복하십니다. 자기 자신의 주장과 성취를 향하면 율법의 길은 부패합니다. 율법은 하느님과 이웃이라는 ‘남’을 향할 때, 그 의미가 되살아납니다. ‘원수를 사랑하라’는 명령은 너무 유명하지만, 문자 그대로 따르기 어렵습니다. 다시 생각하면, 우리 잣대로 ‘원수’를 지정하지는 않았나요? 타인의 잣대, 하느님의 잣대를 적용한다면 그가 꼭 원수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사랑이 더 가까워집니다. 오늘 복음의 다른 명령들도 모두 ‘타자’와 ‘낯선 사람’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묻습니다.

하느님의 거룩함은 새롭고 낯선 생명을 창조하시고 기뻐하신 데 있습니다. 인간의 거룩함은 창조의 하느님께 감사하고 낯선 이들 안에 있는 하느님의 흔적을 기뻐하며 함께 축하하는 데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거룩하시니, 우리도 거룩합니다. 이 일을 잊을 때, 하느님께서 다시 새로운 창조와 변화의 사건을 일으키십니다. 낯선 타인들을 위해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 자신을 바치실 때 역사가 바뀝니다. 자신의 몸과 피를 내놓아 우리에게 음식으로 나누어주실 때 거룩한 변화가 일어납니다. 거룩하고 완전한 부활의 새로운 생명이 피어납니다.

새 창조와 부활의 축제인 성찬례는 하느님의 창조와 사랑을 기억하는 행동입니다. 함께 모인 모든 사람이 하느님 안에서 형제자매로 태어난 것을 확인하고, 서로 최대의 예를 갖추어 존중하고 그들의 자유와 희망을 서로 격려하는 자리입니다. 우리 자신이 멋대로 세운 정의의 기준이 아니라, 주님의 은총으로 우리 자신의 빛과 어둠을 함께 비추는 곳입니다. 빛과 어둠이 불안하게 교차하는 우리 삶의 유한성을 인정하고, 살려고 발버둥 치다가 서로 깨져버린 관계를 조심스럽게 하나로 붙이는 일치의 자리입니다. 서로 같은 점을 찾아 동행을 시작하는 곳입니다. 하느님이 거룩하시니 우리가 서로 거룩하다는 확신을 체험하는 자리입니다. 이 거룩함이 하느님의 꿈, 우리의 신앙입니다.

하느님의 어린 양 – 예수의 정체, 신앙인의 선교

Sunday, January 15th, 2017

St_John_the_Baptist_Gonzalez.jpg

하느님의 어린 양 – 예수의 정체, 신앙인의 선교 (요한 1: 29-42)

“이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 양을 보라.” 세상을 향해 예수님의 정체를 선포하는 세례자 요한의 외침은 그리스도교 신앙과 행동의 핵심입니다. 신앙인은 역사 속의 억압과 질곡으로 생긴 죄의 현실을 벗어나고자 하느님께 도움을 청하는 사람입니다. 신앙인은 인간을 자유롭게 하시려는 하느님의 구원 사건에 자신을 내어 바친 예수님을 바라보는 사람입니다. 신앙인은 그런 예수님의 삶에 자기 삶을 포개며 따르기로 작정한 사람입니다. 신앙인은 두려운 심판의 위협이 아니라 사랑의 언어와 평화의 몸짓으로 우리 안에 머무시는 성령과 함께 걷는 사람입니다.

세례자 요한의 언행이 돋보입니다. 그는 예수님과 ‘태중부터 알아보았던 사촌’이었지만, 자신도 ‘이분이 누구신지 몰랐다’고 고백합니다. 신앙은 혈연과 지연 같은 인맥으로 엮을 일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진실하고 투명한 삶에서 받은 도전을 인정하고 새로 배우는 일에서만 바른 신앙이 솟아나고 진일보합니다. 더욱이 그는 자기 제자들에게 새로운 스승을 소개합니다. 새 스승을 따라 새 길을 걷겠다는 제자들을 기쁘게 떠나보냅니다. 과연 신앙의 역사에 우뚝 선 큰 인물입니다. 옛 세대가 새 세대를 격려하며 밀어주는 넉넉한 행동에서 새 역사가 펼쳐집니다.

요한이 바라본 예수님의 성령 세례는 ‘함께 머무시는 하느님’의 사건입니다. 세례자 요한은 한번 받는 물의 세례로 우리 삶의 방향을 바꾸라고 요청했습니다. 더 나아가, 예수님께서 직접 받은 세례는 삶의 방향을 바꾼 사람들에게 들리는 하느님의 새로운 위로와 격려, 희망을 선언합니다. 신앙인의 삶에서도 여전히 아픔과 기쁨, 슬픔과 즐거움, 실패와 성공이 반복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밝은 대로를 걷든, 그늘진 험로를 헤매든, 하느님께서 우리 위에 내려오셔서 머무시고, 베푸시며, 함께 하십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바라는 것이 무엇이냐?”고 질문하십니다. 이때 제자들이 대답한 대로, “묵고 계시는 데가 어딘지 알고” 예수님과 동고동락하겠다는 다짐이 신앙인의 제자도입니다. 이렇게 다짐하고 따르는 이들에게 주시는 하느님 약속을 이사야 예언자가 선포합니다. 어느 처지에서든 우리와 함께하시는 하느님께서는 우리 안에서, 우리를 통하여, 우리와 함께 당신의 영광을 빛나게 하십니다. 하느님께서는 “나를 지극히 귀하게 보시고, 나의 힘이 되어 주십니다”(이사 49:5).

이제 하느님의 어린 양을 바라보라는 세례자 요한의 선포는 예수님의 삶과 우리의 삶에 겹쳐져 새롭게 펼쳐집니다. “너에게서 나의 영광이 빛나리라. 나는 너를 만국의 빛으로 세운다. 너는 땅끝까지 나의 구원이 이르게 하여라.” 이것이 예수님의 정체를 알고 모시는 우리 신앙인의 정체요, 선교 사명입니다. 하느님의 어린 양이 신앙의 삶, 신앙의 선교 행진에 함께하시니, 이 길에 초대받은 우리는 정녕 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