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 – 모자라지 않은 씨앗

Sunday, July 16th, 2017

Gogh_Sower.png

선교 – 모자라지 않은 씨앗 (마태 13:1-9, 18-23)

예수님께서 비유를 써서 가르치신 까닭은 여러 가지입니다. 어려운 문제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가 하면, 그와는 정반대로 주님을 잘 아는 사람이 아니면 그 뜻을 감추려는 이유도 있습니다. 한편, 쉽고 친절한 풀이도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복잡한 삶을 더 깊이 바라보고 생각하게 하려는 비유도 있습니다. 오늘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가 그런 예입니다.

씨 뿌리는 사람이 씨를 뿌렸는데, 저마다 길바닥에, 돌밭에, 가시덤불 속에 떨어졌다고 합니다. 이런 씨들은 기대했던 수확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다행히 더러는 좋은 땅에 떨어져 수확을 크게 얻었다고 합니다. 복음서는 친절하게 그 풀이 내용을 소개합니다.

씨는 복음이고, 저마다 씨가 떨어진 곳은 신앙인을 뜻합니다. 조금만 복잡하고 어려운 가르침을 주면 뜬구름 잡는 이야기라고 건성으로 듣는 사람이 있습니다. 신앙생활을 하긴 해도 작은 시련이나 갈등에도 금방 토라지는 일도 있습니다. 나름 굳은 다짐을 했지만, 신앙의 가치와 세상의 가치 사이에서 흔들리다가 편한 세상에 기울고는 합니다. 그러나 어려움 속에서도 마음을 잘 가꾸어 넉넉히 받아들이는 신앙생활을 하면 큰 복을 얻는다는 약속입니다. 이 해석대로, 복음을 대하는 마음가짐은 건강한 신앙생활에 아주 중요합니다.

한편, 씨 뿌리는 사람의 행동에 잘 살피면 좀 더 깊은 뜻이 펼쳐집니다. 세상의 농부는 씨를 아무 데나 뿌리지 않습니다. 씨앗의 양을 확인하고 계산해서 좋은 땅에만 골라서 뿌립니다. 그런데 오늘 비유 속 농부는 이런 계산이 없습니다. 아낌없이 여기저기 뿌려도 씨앗은 충분하다는 배짱이 두둑합니다. 오히려 때를 놓치면 안 된다는 급한 마음마저 읽힙니다. 이때 신앙인은 밭이 아니라, 씨 뿌리는 사람입니다.

“들을 귀가 있는 사람은 알아들어라.” 성서 원어에서 ‘듣는다’는 말은 ‘복종하여 행동한다’는 뜻까지 포함합니다. 신앙인은 하느님 나라의 복음을 듣고 복종하여 세상에 아낌없이 뿌리는 행동에 나선 사람입니다. 선교의 행동입니다. 하느님께서 준비하신 복음의 씨앗이 모자랄 일이 없습니다. 그런데도 안절부절못하는 탓은 우리 생각과 염려를 복음에 어설프게 섞다가 확신과 자신감이 옅어지기 때문입니다. 우리 생각과 처지를 앞세워 계산하고 주저하다가 일을 그르치기도 합니다. 우리 눈에만 좋은 땅을 고르다가 신선한 씨앗이 묵어 생명력을 잃기도 합니다. 교회의 사명인 선교가 수확을 내지 못하는 이유가 아닐까요?

우리 교회는 이미 역사 깊은 전례와 영성의 전통으로 기름진 밭입니다. 그 밭을 신뢰하고 복음을 뿌려 몇 배의 소출을 얻어서 다른 이들을 먹이며 도울 사명이 있습니다. 풍성한 수확에서 얻은 좋은 씨앗을 다시 아낌없이 뿌리는 수고를 다 해야 합니다. 신앙인은 더 많은 사람을 만나 더 풍성한 생명을 싹틔우는 선교에서 하느님의 복락을 누립니다.

배척의 율법 vs. 환대의 은총

Sunday, July 2nd, 2017

a_cup_of_water.png

배척의 율법 vs. 환대의 은총 (마태 10:40-42)

우리 삶에는 온갖 배척과 환대가 뒤엉켜 있습니다. 조직을 지키려면 바깥에서 온 낯선 이들보다는 안쪽에 있는 인맥에 기대는 편이 더 지혜롭다고들 합니다. 반면, 고인 물이 쉽게 썩는 일을 염려하여, 새로운 물갈이 말고는 공동체의 쇄신과 성장이 어렵다는 주장도 꽤 설득력을 얻습니다. 일상에서는 서로 가까운 사람들도 어떤 이익 분기점이나 감정의 경계 막바지에서는 등을 돌리기 일쑤입니다. 사람이 만든 배척과 환대의 기준은 정갈하지 않고 변덕스럽기만 합니다. 이때 예수님께서 신앙인에게 주시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감추고 덮으려는 거짓 세상을 향하여 진실을 외치고, 힘의 대결로 약속하는 거짓 평화에 저항하여 하느님의 평화를 세우는 일입니다. 이것이 ‘가르치고, 선포하고, 고쳐주라’는 예수님의 명령에 깃든 우리 교회의 선교 사명이자 기준입니다. 녹록지 않습니다. 세상 가치에 물든 종교가 약속하는 성공과 안위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대와는 달리 모진 고생과 박해, 상처와 손해가 뒤따르는 위험한 일입니다. 그러나 진실과 평화의 행동 안에서 제자와 예수님, 그리고 하느님이 서로 안에 머물며 일치하는 신비가 펼쳐집니다(40절). 이 신비는 예언자들과 옳은 사람들과 보잘것없는 사람들에게 손을 내밀며 확장합니다. 교회가 성장하는 방식입니다.

사도 바울로 성인은 이 신비의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식별하여 경계합니다(로마 6:12-23). 그것은 ‘신앙 기득권’과 ‘제멋대로 신앙’입니다. 율법은 애초에 인간의 이기심과 경쟁심을 조절하고 제어하여 공동체를 이루고 살라고 하느님께서 주신 규칙의 선물입니다. 그러나 소수의 종교권력자가 자신은 쏙 빼고 다른 사람들만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이때 율법은 선물이 아니라 지배와 배척의 도구입니다. 이에 대한 반발심으로, 규칙과 제어를 거부하거나 무시하는 태도는 자칫 공동체를 또 다른 위험에 빠뜨리기도 합니다.

사도 성인은 우리에게 익숙한 지배와 예속, 자유와 정의에 관한 생각을 사뭇 다르게 풀어갑니다. 그 분명한 대조와 역설적인 표현은 새로운 시선을 선사합니다. 사람은 율법이든 은총이든 지배 아래 있습니다. 문제는 무엇에 지배받고 사로잡히겠느냐는 선택입니다. ‘죄’는 남을 배척하며 힘을 휘두르는 행동입니다. 그러나 ‘정의’는 다른 사람을 환대하여 섬기는 일입니다. ‘죄’는 제멋대로 개인적인 자기감정과 주장에 골몰하게 합니다. 그러나 ‘정의’는 하느님의 가치를 공동체 안에서 성찰하여 대화와 배움의 고된 행동에 예속하도록 이끕니다. 제멋대로 세운 배척의 기준과 자유의 환상은 교회를 죽음으로 몰아갑니다. 그러나 밖이든 안이든 새롭게 다가오는 낯선 도전의 은총을 환대하고 견디는 일은 교회와 세상을 풍요롭게 합니다.

자신의 보호막으로 사용하려는 율법과, 고된 도전으로 낯설게 배우려는 은총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을 선택하고 있나요? 자리를 지키려고 웅크린 배척의 감정과, 초대하며 부딪쳐 나누려는 환대의 마음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에 사로잡혀 있나요? 예언자들과 옳은 사람들과 보잘것없는 이들은 오늘 우리 사회와 교회에서 누구인가요?

신앙의 양식 – 우물가의 여인처럼

Sunday, March 19th, 2017

samaritan_woman_well.png

신앙의 양식 – 우물가의 여인처럼 (요한 4:5-42)

하느님은 생명의 물입니다. 어둠 깊은 물에서 하느님께서는 생명을 창조하십니다. 그 물은 죽음과 심판이기도 합니다. 인간의 죄는 홍수의 물로 심판받습니다. 다시, 홍해에서 갈라진 물은 하느님의 백성에게 자유와 해방의 길을 열어줍니다. 예수님은 변화의 물입니다. 세례의 물로 우리에게 새로운 생명을 주십니다. 차별과 분리의 벽을 넘는 만남으로 우리는 하느님과 더불어, 이웃과 함께 새로운 삶을 마련합니다. 신앙인은 예수님이 만난 우물가의 여인처럼 생명과 변화의 물을 선택합니다.

오늘 한낮에 벌어진 우물가의 만남은 지난주 어둠 속의 만남과 대조를 이룹니다. 니고데모는 어둠 속에 자신의 신분을 감추고 자신의 지위를 지키려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우물가의 여인은 대낮에 자신의 신분과 처지가 다 드러날 수밖에 없는 사람입니다. 니고데모는 예수님께 질문을 던집니다. 여기서 예수님은 권위 있는 선생입니다. 그러나 우물가에서는 예수님이 여인에게 물을 달라고 청합니다. 여기서 예수님은 지치고 연약한 나그네입니다. 니고데모는 예수님과 같은 유대인입니다. 그러나 여인은 이방인입니다. 니고데모는 권력과 도덕의 명분을 갖춘 사람이지만, 이 여인은 과거의 삶이 복잡합니다.

이 둘을 나누는 기준은 권력과 신분, 종교와 혈통입니다. 성차별이 심각한 사회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대비 점도 꼭 눈여겨봐야 합니다. 휘두르는 힘과 고통받는 연약함을 여러 맥락에서 조심스레 식별해야 합니다. 공통점이라면 둘 다 처음에 예수님의 말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사실입니다. 무지의 상태 자체는 탓할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무지와 편견을 벗어나 배움과 깨달음으로 전진하느냐 마느냐는 신앙의 기준이 됩니다.

두 사람의 방향은 전혀 다르게 펼쳐집니다. 니고데모는 어둠 속에서 여전히 알아듣지 못하지만, 여인은 깊은 대화와 배움 속에서 자기 생각을 바꿉니다. 자신의 외롭고 고통스러운 처지, 복잡하고 말할 수 없는 아픔을 낯선 사람과 나눌 때 새로운 일이 일어납니다. 예수님은 세상의 기준으로 세운 온갖 차별과 분열의 벽을 훌쩍 뛰어넘는 일로 여인에게 선물을 건넵니다. 과거가 불분명하고 낯선 이방인 여인을 복음의 증언자로 초대합니다.

예수님 말씀대로 신앙인이 먹을 양식은 따로 있습니다. 예수님의 삶은 새로운 음식의 조리법과 같습니다. 그 조리법에 따라 우리의 마음과 몸을 참된 기도와 예배의 그릇에 담습니다. 서로 다른 우리가 뒤섞여 세례의 물과 성령의 불로 끓을 때 새로운 음식이 마련됩니다. 교회는 이 음식을 올린 잔칫상에 낯선 사람들을 초대하는 공동체입니다. 하느님의 뜻을 이루고 그분의 일을 완성하는 행동이 우리 신앙인의 양식입니다. 이렇게 우리는 우물가의 여인처럼 예수님과 생명의 물을 마시며 신앙의 양식을 나누어 먹습니다. 이것이 우물가의 성찬례, 참되고 영적인 예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