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 역사의 희망이 움트는 자궁

Sunday, December 20th, 2015

교회 – 역사의 희망이 움트는 자궁 (루가 1:39~45)1

하느님의 희망은 잘 보이지 않은 곳, 버려진 곳, 잊혀진 곳에서 움틉니다. 유대 땅 베들레헴은 보잘것없고 실패한 사람들이 어쩔 수 없이 모여든 종착지입니다. 성공하여 어깨를 으쓱대는 세상이 눈을 주지 않는 지역과 집안이고, 힘을 얻은 집단이 업신여기는 신분과 지위입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꿈은 스스로 막장에 이르렀다는 절망의 현실을 거름 삼아 뿌려진 씨앗입니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어둡고 습한 곳에 숨죽였던 사람들이 함께 만나 손을 모으고 어깨를 기댈 때 새로운 생명이 움틉니다. 이 생명은 옛 시대의 지혜와 새 시대의 희망이 함께 만날 때 자라납니다. 이것이 아기 예수 탄생을 눈앞에 둔 우리가 바라보는 신비입니다.

세대 간 단절과 갈등이 깊어진다는 우려가 큰 시절입니다. 역사의 경험과 지혜가 풍요롭게 이어지지 않고, 오해와 갈등으로 막히는 일이 적지 않습니다. 이 현실을 서로 안타까워하면서도 서로 더 깊이 이해하며 지혜를 잇대려는 노력은 부족합니다. 그러나 새로운 생명의 탄생은 부부와 가족 친지에게 기쁨과 평화를 안겨줍니다. 젊은 부부만이 아니라 할아버지 할머니에게도 크나큰 기쁨의 선물입니다. 예수님께서 그런 아기로 오십니다. 이 기쁨으로 세대의 갈등을 멈추고, 험한 세상 속에 온 아기의 미래를 위해 화해를 마련하라는 부탁입니다. 갓 태어난 생명의 신비에 모두 감격하라는 초대입니다. 여기서 평화가 열립니다.

나이 적은 마리아는 나이 많은 엘리사벳을 먼저 찾아갑니다. 혼외 임신 소식에 당황하고 불안했을 마리아는 비슷한 경험으로 아기를 가진 엘리사벳의 경험과 지혜를 구합니다. 나이 든 엘리사벳은 젊은 마리아를 환대하고 그가 복되다고 높이 찬양합니다. 속 깊은 격려입니다. 이 만남 속에서 새 시대의 희망인 아기들도 서로 알아보며 기뻐 뛰놉니다. 새 시대가 옛 시대에 기대고, 옛 시대가 새 시대를 격려하여 찬양할 때, 역사는 이어지고 풍요로워져서 새로운 길이 열립니다. 세대가 서로 만나 환대하고 경청할 때 공감이 열립니다. 각 세대가 품은 꿈이 공명할 때 희망과 기쁨이 뱃속을 꿈틀거리며 발길질을 합니다.

교회는 이러한 공명으로 역사와 구원의 희망이 움트는 자궁입니다. 교회는 전례 안에서 남녀노소 모두 모여 한목소리로 찬양하고, 하느님의 구원 이야기를 같이 듣고, 그리스도께서 주신 몸을 함께 먹고 나눕니다. 이때 우리는 구원의 삶을 이미 살아가기 시작합니다. 이 공감을 나눌 때, 습하고 어두운 자궁은 위대한 생명의 신비를 담은 아름다운 구원의 공간이 됩니다. 아기를 품은 마리아의 노래는 이 구원의 삶을 노래합니다. 힘과 부를 얻으려고 경쟁하고 짓누르는 소수의 힘과 가치는 흩어져야 합니다. 실패하여 절망한 사람들, 비천하고 배고픈 사람들을 향한 복음이 더 많은 사람에게 기쁨과 평화를 가져다줍니다. 신앙인은 아기를 고대하는 마리아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하느님의 희망이 엘리사벳과 마리아의 만남으로 펼쳐지고, 하느님의 꿈이 세례자 요한과 예수님의 협력으로 피어납니다. 교회는 모든 세대가 이 희망과 꿈을 지니고 역사의 경험과 지혜를 이어달리기하는 곳입니다. 교회는 만남과 나눔으로 희망의 역사를 이어갑니다. 교회는 세상에 새로운 삶을 선사하는 신앙인을 낳는 거룩한 자궁입니다.

Magnificat red.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2월 20일 대림 4주일 주보 []

대림 – 몸을 일으켜 머리를 들라

Sunday, November 29th, 2015

대림 – 몸을 일으켜 머리를 들라 (루가 21:25~36)1

새해를 맞았습니다. 한 해가 한 달이나 남았는데, 새해라니요? 그리스도교회는 아기 예수의 오심을 준비하는 대림절로 한 해를 시작합니다. 교회는 의도적으로 세상의 시간을 비껴서 거룩한 시간을 새로 마련했습니다. 세상 달력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주기와 계절의 변화를 따르고, 그 새해의 기준점도 편의대로 정했습니다. 그러나 우리 신앙인의 거룩한 시간인 교회력은 기준점과 뜻이 분명합니다. 아기 예수님의 탄생을 기다리고 준비하는 대림절이 새해입니다. 하느님께서 이 세상에 예수로 오셔서 우리와 함께하신 사건이 시간의 기준점입니다. 세상이 정한 기대와 시간을 비껴서서, 예수님의 삶에 우리 희망과 시간을 포개어 살겠다고 다짐합니다.

대림절의 말뜻은 ‘오심’입니다. 신앙의 새해인 대림절에는 하느님께서 우리 안에 오셔서 새로운 일이 벌어지리라는 기대와 설렘이 가득합니다. 예언자 예레미야는 고통스럽고 절망스러운 처지에서 외칩니다. 하느님께서 오셔서 뒤틀리고 부서진 우리 삶을 회복하시리라 희망합니다. 그 희망은 예수님이 오셔서 이루어졌습니다. 첫 번째 오심(성육신)입니다. 하느님께서는 몸소 가난하고 연약한 사람이 되셔서 고통 속에 있는 이들과 더불어 사시며 치유를 펼치시고 사랑을 나누셨습니다. 쉽지 않더라도, 예수님의 삶을 우리 삶에 포개어 살 때 하느님께서 다스리는 삶과 새로운 생명이 펼쳐집니다. 이 삶이 세상 곳곳에 끝까지 펼쳐질 때 우리는 예수님께서 다시 오시리라 믿습니다. 두 번째 오심(재림)입니다.

예수님께서 오셨는데 우리 현실은 왜 이렇게 암담할까요? 고통스럽고 힘들면 하느님께 도움을 요청해야 할 텐데, 왜 세상은 더 “흥청대며 먹고 마시는 일”에 빠져 살까요? 예수님께서 다시 오실 텐데, 왜 우리는 “세상 걱정에 마음을 빼앗기며” 살아가는 것일까요? 주님의 가르침은 분명합니다.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세상일을 보고 사는 탓입니다. 절망의 현실에서는 당장 자신을 위로하고 기쁨을 주는 일에 사로잡히기 쉽습니다. 그럴수록 중독과 우울의 그림자가 더 짙어집니다. 장래와 노후에 관한 염려와 계획에 사로잡히면 마음의 시선을 자기 자신에게만 두고 가족만 보살피기에도 벅찬 인생이 됩니다. 그럴수록 걱정과 불안이 떠나지 않고 팍팍한 삶이 계속됩니다. 이때, 우리 마음과 생활 안에 오시는 하느님은 거절당하고, 우리 인생은 ‘덫’에서 헤어나지 못합니다. 성서가 경고하는 ‘멸망의 길’입니다.

사도 바울로는 ‘하느님 오심’의 세 번째 차원인 생명의 길을 누리도록 간절히 기도합니다. 우리 앞길은 사람의 염려가 아니라 하느님의 사랑으로 열립니다. 하느님의 길을 걷는 사람은 자기 사랑에서 벗어나 하느님 사랑을 마음과 몸으로 널리 나누어 자신과 다른 사람의 삶을 풍성하게 합니다. 이 행동으로 우리 믿음은 굳건해집니다. 이 때 우리는 절망과 고통의 자리를 털고 일어나 “하느님 앞에서 거룩하고 흠 없는 사람”으로 우뚝 설 수 있습니다. 신앙인은 고통스럽고 암담한 현실 속에서 자기 연민에 빠지지 않습니다. 어려울 수록 몸을 일으켜 머리를 들고 다른 이에게 손을 펼치는 신앙인이 우리 가족과 교회와 세상에 새로운 희망을 낳습니다. 어둠 덮은 세상의 시간을 넘어서는 대림절은 이 희망찬 신앙과 삶의 새해입니다.

advent_candle_1.pn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1월 29일 대림 1주일 주보 []

하느님 나라 – 모든 성인의 감사 잔치

Sunday, November 1st, 2015

All-Saints-Day-icon.png

하느님 나라 – 모든 성인의 감사 잔치 (마태 6:25~33)12

성찬례의 어원은 ‘감사’를 뜻하는 ‘유카리스티아’입니다. 성공회는 이 뜻을 잘 알아서 예전부터 성찬례를 ‘감사제’로 불렀습니다. 2004년 기도서 이후로 우리는 말씀과 성찬을 함께 나누며 감사와 찬양을 드리는 예배를 ‘감사 성찬례’로 부릅니다. 성서와 교회의 전통을 잘 헤아린 표현입니다.

‘감사 성찬례’는 예수님의 삶과 죽음과 부활에 드러난 구원 사건을 아우르는 잔치입니다. 배고픈 이들을 배불리 먹이신 음식 기적은 교회가 어떤 사람들에게 먼저 눈을 돌려 어떤 일을 실천해야 하는지 보여줍니다. ‘죄인들과 먹고 마시기를 즐기는 사람’이라는 힐난을 들었던 예수님은 당신의 식탁에서 누구도 배척하지 않으셨습니다. 성 목요일에 제자들과 나눴던 마지막 저녁 식사는 당신의 몸과 피를 나누듯이 신앙인의 삶이 다른 사람을 향한 희생과 헌신이어야 한다는 간절한 부탁입니다. 예수님의 죽음에 절망하여 엠마오로 낙향하던 제자들이 낯선 나그네를 만나 동행하며 그의 ‘말씀’을 듣고 ‘음식’을 나눌 때 부활한 예수님을 깨달았던 사건은 그 자체로 성찬례의 구조입니다. 초대 그리스도인들은 이 모든 일을 기억하며 하느님께 감사와 찬양으로 성찬례를 드렸습니다.

오늘 이사야 예언자는 이 구원의 잔치를 미리 노래했습니다. 보잘것없는 사람들을 높이시고 누구 한 명 예외 없이 ‘모든’ 사람을 초대하여 베푸신 잔치입니다. 나라 잃고 헤매던 이들을 거룩한 산으로 초대하여 ‘연한 살코기’와 ‘맑은 술’의 잔치를 베푸십니다. 삶 속에 겪은 상처와 아픔, 실패와 좌절 때문에 고개 숙일 필요 없다며, 잔치의 당당한 손님으로 환영하십니다. ‘살코기와 술’로 마련된 예수님의 성체와 보혈을 먹고 마시며, 그 넉넉한 환대에 감사하고 찬양하면서 흥을 누리는 잔치가 바로 성찬례입니다.

요한 묵시록은 이 잔치가 여는 ‘새 하늘과 새 땅’의 꿈을 노래합니다. 하느님의 구원 잔치는 몇몇 사람과 특정한 지역에서만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오히려 눈물과 슬픔과 고통에 있는 이들을 먼저 일으키시어 아름다운 ‘신부’로 높이 삼아 사랑해 주십니다. ‘신랑’이신 예수님과 ‘신부’인 교회가 누리는 혼인 잔치에서 우리 신앙인은 모두 ‘신부’처럼 아름답고 귀한 존재입니다. 이 잔치에서 우리 수고의 땀방울이 포도주와 떡으로 결실을 맺고, 우리 아픔의 눈물은 그리스도의 성체와 보혈로 거룩하게 됩니다. 이 아름다운 변화 속에서 우리는 하느님께서 주시는 새로운 생명을 먹고 마시는 사람이 됩니다.

오늘 우리가 기념하는 ‘모든 성인들’은 오늘 이곳에 모인 ‘모든 교우들의 얼굴’입니다. 하느님께서 마련하신 구원의 잔치에 초대받은 우리는 “솔로몬의 옷보다 화려한 꽃 한 송이들”입니다. 모든 성인과 모든 교우가 모인 교회는 있는 그대로 저마다 다채롭게 피어올라 서로 어울려 다른 색깔을 축하하고 보살피는 장엄한 꽃들의 정원입니다. 이 정원에서 펼쳐지는 환대와 친교의 잔치가 감사 성찬례입니다. 이 성찬례 안에서 하느님께 감사와 찬양을 드리며, 우리가 서로 귀하게 여기고 서로 고마워하며 누리는 새로운 관계가 우리가 구하며 맛보는 하느님 나라입니다.

Multicolored-flowers.jpg

  1. 1,2 독서와 시편은 모든 성인의 날, 복음은 추수감사절 복음 []
  2.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1월1일 모든 성인의 날, 모든 교우의 날, 추수감사절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