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5월의 삼위일체 주일

Monday, May 27th, 2013

어느 5월의 삼위일체 주일

주변 모두가 싱그럽고 그 생명력을 발산하는 5월입니다. 꽃이 흐드러지고 바람도 개운합니다. 옷도 가벼워지고 얼굴에 활기가 넘칩니다. 이런 5월에 우리 역사는 우리 기억과 몸에 숱한 상처와 슬픔을 남겼습니다. 특히 그것이 죽음의 그림자인 탓에 마음이 무겁습니다. 생명의 기운이 화사한 이 시절에 죽음을 이야기하자니 아주 짓궂은 일로도 들립니다.

시인 T S 엘리엇은 자신의 유명한 연작 시 “황무지”에서 ‘4월은 잔인한 달’이라고 읊은 적이 있습니다. 역사상 가장 참혹한 전쟁 가운데 하나였던 1차 세계 대전에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세월은 그 참혹한 역사를 망각하고 아무렇지도 않게 흘렀습니다. 세월은 망각하는 사람을 만들었습니다. 시인은 그 망각이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이 꽃이 피어나는 일을 받아들이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시인은 ‘4월은 잔인한 달’이라고 한탄했습니다.

한국 사람들에게는 이 잔인한 4월이 4.19 혁명 기념일에서 5월의 5.18, 그리고 전직 대통령의 죽음으로도 이어져 있습니다. 우리에게 4월과 5월은 참으로 잔인한 달입니다. 역사를 망각하기에 그렇습니다. 소위 ‘일베충’들과 수구 언론들은 인터넷과 방송으로 5.18 광주 민중 항쟁에 북한 특수군이 개입했다는 거짓말을 퍼뜨립니다.

수구 보수주의 언론인 가운데 한 명인 조갑제씨는 80년 당시 기자로서 5.18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이러한 부끄러운 줄 모르는 허위와 거짓말이 범람하는 현상을 보며하며, 자신이 아무리 보수주의자라 하더라도, 이런 사실 왜곡만은 인정하기 어렵노라 말했습니다. 북한군 개입설을 일축했습니다. 그랬더니 이제는 조갑제씨마저도 좌파라고 몰립니다. 역사를 망각하는 시대는 참으로 어처구니 없고 잔인한 시대입니다.

한편, 우리가 역사를 되새기는 방법에도 문제가 있지 않나 되돌아봐야 합니다. 우리는 4.19 나 5.18, 그리고 역사 속의 안타까운 삶과 죽음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나요? 그 역사적 의미가 너무 중요한 탓에, 그 큰 그림과 거대한 구호와 정당성으로만 그 역사를 기억하지 않았나요? 그 억울한 죽음을 직면한 충격이 너무 큰 탓에, 감당할 수 없는 분노로만 그 역사를 기억하지 않았나요? 33년이 흐른 지금 우리는 5.18 이라는 숫자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요?

(침묵)

1980년 5월 18일은 이렇게 시작되었습니다. 독재자 전두환은 5월 17일 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했습니다. 그리고 이튿날인 5월 18일, 민주 인사를 대대적으로 체포하고, 국회의사당을 군대로 점령했습니다. 전국 곳곳에서 이에 저항하는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이때 광주에서는 공수부대로 이루어진 계엄군이 시위 학생을 무참하게 진압했습니다. 이에 분개한 학생과 시민이 거리에 나와 시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이튿날부터는 증원된 공수여단이 광주에 들어와 무자비한 진압과 살육이 시작되었습니다. 광주는 시민군을 조직하여 계엄군과 전투를 벌였습니다. 계엄군은 5월 22일 광주 전체를 고립시키기 위해 작전상 후퇴를 했습니다. 그날 이후로 광주는 외부로부터 완전히 고립되었습니다.

죽음의 공포가 몰려왔을 법합니다. 이러면 보통 사람들은 제 정신을 지키기 어렵습니다. 친구와 자녀와 남편과 아내를 잃었습니다. 이웃이 처참하게 쓰러졌습니다. 총상과 자상, 타박상을 입은 수많은 부상자로 병원은 북새통을 이뤘습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5월 22일부터 고립된 광주는 평온을 되찾았습니다. 학생과 시민은 총기를 나눠들고 계엄군의 진압과 공격에 대비했습니다. 수 많은 시민이 주먹밥을 해 와서 시민군의 식사를 마련했습니다. 많은 여고생과 시민은 병원으로 찾아가 부상자 치료를 위해 헌혈했습니다.

시장은 예상대로 섰습니다. 부 도지사를 비롯한 도청 공무원들이 정상 출근하여, 사망자와 부상자를 위한 대책을 세웠습니다. 이 혼란의 시기에 범죄율은 오히려 현격하게 떨어졌습니다.

신비하게도, 5월 22일부터 5월 27일 새벽 전남 도청을 지키던 시민군이 완전히 진압되기까지, 이 닷새는 실제로 밥과 피를 나누는 거룩한 공동체를 경험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래서 그 닷새는 거룩한 날들이었습니다.

518.png

5.18 은 불의에 항거하고 정의를 외치는 간단한 구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힘 있는 자들이 휘두르는 폭압과 그로 인한 고통을 함께 견디고 통과했을 때, 새로운 일이 일어났습니다. 5월 22일부터 26일까지 닷새 동안은 5.18 의 정의로운 삶이 세상에 드러나는 실험의 시간과 공간이었습니다. 고통과 상처 위에서 거룩한 일이 벌어지는 성사의 시공간이 되었습니다.

이것이 5.18의 진정한 꿈이 아닐까요? 여기에 우리 역사의 희망이 있지 않을까요? 우리는 지난 33년 동안 이 실험과 꿈을 우리 몸으로 훈련하며 그 실험을 계속했나요?

(침묵)

오늘은 그리스도교회가 전통적으로 지키는 삼위일체 대축일입니다. 삼위일체라는 교리가 있습니다. 하느님이 한 분이시지만, 그 모양과 활동은 독립적인 세 분을 통해서 나타납니다. 그러나 그 세 분도 결국은 한 하느님이라는 주장입니다. 논리가 허무맹랑하게 들립니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서로 다르지만, 근본적으로는 한 분이라는 기이한 교리입니다.

이것을 머리로 이해하려 하고 교리로 접근하면 삼위일체의 신비에 다가가지 못합니다. 교회는 그동안 이 문제를 두고 머리로 이해하고 논리를 세우려 애썼습니다. 그동안 교회는 서로 자기 설명이 맞네 틀리네 하며 서로 싸우고 비난하며, 정죄하고 투옥하고, 심지어 서로 죽이기도 했습니다. 그럴 가치가 있는 교리일까요?

저는 여러분에게 말씀드립니다. 하느님은 셋이지만 결국 하나라는, 삼위일체는 그냥 무작정 믿어야 할 교리가 아닙니다. 삼위일체는 무엇보다도 창조와 구원과 사랑이 함께 어우러지는 삶을 드러내는 거룩한 관계입니다. 거룩한 공동체를 가리킵니다. 사랑으로 서로 보살피는 공동체의 관계를 말합니다. 우리 인간 사회가 본떠 만들어야 할 새로운 관계의 모델입니다.

16세기 러시아 수도자였던 안드레이 류블레프는 그 유명한 삼위일체를 나그네가 나누는 밥상의 친교로 표현했습니다. 함께 모여서 서로 응시하며, 서로 초대하고, 서로 나누는 친교의 공동체를 통해서 삼위일체를 봅니다.

trinity_rublev.jpg

성 이냐시오는 삼위일체를 음악의 악보에 비유하기도 했습니다. 서로 다른 음이 함께 어우러져 아름다운 화음을 만들어내는 관계가 삼위일체라고 합니다. 서로 다르지만, 각자가 전체를 위해 서로 기여하고, 큰 몸, 한 몸을 만듭니다.

성부 하느님은 온 우주를 창조하고 사랑하시는 분입니다. 창조의 하느님은 요즘 일부 개신교에서 주장하는 ‘창조과학’의 하느님이 아닙니다. ‘창조의 하느님’이란 우리 인간 한 사람 한 사람에게 하느님의 거룩함(신성)이 깃들어 있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사는 땅과 환경과 우주에 하느님의 거룩함이 깃들어 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모두 어떤 차별도 없이 하느님의 사랑 안에 존재하며, 그러니 서로 존중하고 존중받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성자 하느님은 예수입니다. 예수는 세상의 고통을 몸소 겪으러 오셨고, 가난한 이들과 권력이 없는 이들과 함께 길을 걷다가 정치범 처형 방식인 십자가 위에 죽임을 당한 분이었습니다. 구원의 하느님인 예수는 구원이 어떤 도통한 종교적 도력에 있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고통과 아픔에 동참하고, 보잘것없는 이들에게 애틋함과 측은지심의 시선을 돌리는 행동 안에 우리의 구원이 있습니다. 그것을 몸소 보여주신 분이 예수입니다. 정의는 바로 이 위에 서야 합니다.

성령 하느님은 바람처럼 자유로운 분입니다. 성령 하느님은 모든 세상 위에 골고루 내려 생명을 키우는 단비 같은 분입니다. 어떤 사람에게든 저마다 은총의 선물을 주어, 그 선물을 이용해서 서로 봉사하고 섬기도록 이끄시는 분입니다. 성령은 모든 것을 포기하고 떠날 수 있는 자유를 주시는 분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이런 표현으로 하느님을 이해하지는 못합니다. 하느님은 이해의 대상이 아니니까요. 하느님은 오직 경험할 수 있을 뿐입니다. 가족, 친구, 이웃을 가슴에 품고 애틋하게 여기고 기도하고 사랑할 때 경험하는 분입니다. 세상의 고통을 응시하고 내 안에 초대하여 내 아픔으로 삼을 때 경험하는 분입니다.

사도 바울로의 말을 빌어볼까요? 삼위일체 하느님은 서로 지닌 고통을 함께 나눌 때 경험할 수 있습니다. 서로 참아주며, 함께 시련을 이겨낼 때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자신의 밥을 나누고, 자신의 피를 나눌 때 경험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우리의 희망이 있습니다. 여기에 우리 사회와 역사의 희망이 있습니다.

주먹밥과 피를 나누었던 33년 전을 기억합니다. 서로 초대하고 감싸며 보살폈던 그때를 기억합니다. 이제 여러분을 저 제대에서 나누는 밥과 피의 잔치로 초대합니다. 저 둘레에서 같이 먹고 나누며, 2천 년 전 예수가 나누던 밥상, 33년 전 닷새 동안 나누던 잔치를 기억해야 하니까요. 그때라야 우리는 잔인한 4월, 잔인한 5월을 제대로 기억하며, 망각을 끝낼 수 있으니까요. 그때라야 우리는 진정한 생명력이 피어나는 아름다운 계절을 맞이할 테니까요.

그렇게 해볼까요?

(침묵)

성찬기도 5 – 캐나다 성공회 기도서

Wednesday, September 5th, 2012

일본에서 더듬거리는 우리말로 전화가 걸려왔다. 오래 사귀며 우정을 나누었던 고토 신부님이었다. 오랜 만에 듣는 목소리와 안부에 반가왔고, 암으로 투병했던 사모님의 건강한 목소리까지 들으니 울컥하도록 기뻤다.

안부에 이은 부탁이 있었다. 일본 성공회 중부 교구 선교 100주년 기념 미사가 있을 예정이란다. 중부 교구는 캐나다 성공회가 선교했으므로, 그 노고를 기념하기 위하여 캐나다 성공회 기도서 성찬례를 이용하기로 했단다. 한국에서 손님이 오실 터이니, 성찬기도 부분만 우리말로 번역해 달라는 부탁이었다.

기도서를 들춰 여러 번 고쳐 읽고, 잠시 허튼 번역을 일삼았다. 다른 성공회 관구의 성찬 기도를 나누려고 여기에도 졸역을 옮긴다.

캐나다 성공회 대안 예식서

The Book of Alternative Services of the Anglican Church of Canada

성찬기도 5 Eucharistic Prayer 5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또한 사제와 함께 하소서.

마음을 드높이
주님을 향하여 (주님께 올립니다.)

우리 주 하느님께 감사합시다.
마땅하고 옳은 일입니다.

전능하신 하느님께서는
이처럼 경이로운 세상을 선물로 주셨고
우리의 생명도 주님에게서 나왔으며
또한 주님의 능력으로 온 우주를 지키시오니
우리가 주님께 감사와 찬양을 드리나이다.

영원토록 주님께 영광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창조하시어
온 마음으로 주님을 사랑하도록 하셨으며,
이웃을 우리 몸처럼 사랑하도록 하셨으나,
우리는 나쁜 행실로 주님을 거역하였나이다.

하느님께서는 아들이신 예수 안에서
우리 세상을 고치시고
우리를 모아 한 가족이 되게 하셨나이다.
그러므로 땅과 하늘에서 주님을 섬기는 모든 이들과 함께
주님의 놀라운 이름을 소리 높여 찬양하나이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도다,
만군의 주 하느님, 하늘과 땅에 가득한 그 영광.
높은 데에 호산나.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미받으소서.
높은 데에 호산나.

주님의 아들 예수를 우리에게 보내시어
우리를 향한 주님의 사랑을 알려 주셨으니,
우리가 사랑이신 아버지께 감사와 찬양을 드리나이다.

예수께서는 가난한 사람들과 배고픈 사람들을 돌보시며
아픈 사람들과 쫓겨난 사람들과 함께 고통 당하십니다.
배신 당하고 버림 받으셨으나, 우리에게 되갚지 않으시고
사랑으로 미움을 이기셨으며,
십자가 위에서
예수께서는 죄와 죽음의 권세를 물리치셨나이다.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아들을 일으키시어
우리에게 주님 사랑의 힘을 보여 주시고
주님의 백성에게 새로운 생명을 주셨나이다.

영원토록 주님께 영광

우리를 위해 목숨을 바치시기 전날 밤,
예수께서는 벗들과 나누는 만찬에서
빵을 들어, 하느님께 감사의 기도를 드리시고
떼어, 벗들에게 주시며 말씀하셨나이다.
“여러분은 모두 이것을 받아드십시오.
이것은 여러분을 위해 주는 내 몸입니다.”

식사를 마치시고, 예수께서는 잔을 드시고,
축복하시며 벗들에게 주시며 말씀하셨나이다.
“여러분은 이 잔을 받아 드십시오.
이것은 내 피의 잔,
여러분과 많은 사람들을 위하여 흘리는 새롭고 영원한 계약의 피로
여러분의 죄가 용서받았으니,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십시오.”

영원토록 주님께 영광

은혜로우신 하느님,
이 빵과 포도주로 우리가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축하하며
예수 안에 계시는 주님께 우리 자신을 바치나이다.
주님의 성령을 우리와 이 예물 위에 보내시어
이 빵을 떼며, 주님 자녀로 모인 우리가 이 생명을 나눌 때에
예수의 현존을 깨닫게 하소서.

영원토록 주님께 영광

하느님 아버지, 우리를 주님의 종으로 불러 주셨으니
예수의 용기와 사랑을 우리 안에 채워 주시어
온 세상이 주님 나라의 식탁에 기쁨으로 참여하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령의 능력 안에서
전능하신 아버지를 영원토록 찬미하나이다.

영원토록 주님께 영광

(번역: 주낙현 신부)

성 토요일: 무덤의 침묵

Friday, April 6th, 2012

성삼일(Holy Triduum)과 그 전례적 의미에 관한 글을 작년에 서울 교구 성직자들과 나눴다. 그 글을 이룬 파편들은 이미 이 블로그 여기저기에 있으니, 이곳에 적지 않은 성 토요일에 관한 부분만 따서 옮긴다.

~~~

성 토요일은 성 금요일이 보여주는 부재와 결핍이 가장 고조된 날이다. 십자가 처형 후 예수님의 시신은 내려져서 아리마태아 사람 요셉이 마련해 둔 무덤에 안치되었다. 그 무덤은 어둡고 차가운 곳이다. 그 무덤은 단단하게 막혀서 어떤 생명도 느낄 수 없는 곳이다. 부재와 침묵의 그늘이 지배하는 곳이다. 십자가 처형 이후로 정지된 시간의 연속이다. 다만, 우리는 그 침묵 속에서 피어오를 희망을 기대하고 기다린다. 안식일이 끝나기만을 기다려서 무덤에 찾아가려 했던 여인들처럼 말이다.

그러나 이 부재와 결핍에 따른 침묵은 우리 인간의 몫일 뿐이다. 성서(1베드 3:19)와 전통(사도신경)은 성 토요일에도 예수님께서 그 구원의 사건을 우리가 알 수 없는 지하 세계에서도 펼치셨노라고 증언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느끼는 부재와 절망 속에서도 예수님께서는 그 구원의 위업을 멈추지 않으신다. 하느님께서는 되찾아야 할 하느님의 자녀를 위해 여전히 일하시는 분이시다. 이런 이해를 통해서라야 우리는 정교회 이콘 전통이 보여주는 부활의 신학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Icon_large.jpg

현대의 이콘 – 음간(하데스)에서 아담과 하와를 이끄시는 부활하신 예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