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에 닿아 함께 일어서는 공동체

Sunday, June 5th, 2016

Jesus raises the son of the Widow of Nain.jpg

슬픔에 닿아 함께 일어서는 공동체 (루가 7:11~17)

자녀를 잃은 슬픔은 그 누구도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곁에 있는 사람은 위로의 말을 찾기 어렵고, 자기 몸이 끊어져 나간 듯한 아픔을 겪은 당사자도 그 슬픔의 깊이를 가늠하지 못합니다. 그저 어둠의 구멍 속으로 끝을 모르고 계속 추락하는 느낌일 뿐이라는 증언과 함께 어떻게도 몸과 마음을 가눌 수 없는 상태를 눈물로만 확인할 뿐입니다. 오늘 성서 이야기는 극한의 슬픔에 덮인 어머니를 소개합니다. 어머니의 추락을 멈추려 그 슬픔의 밑바닥에 닿으려 온 몸을 내미는 엘리야 예언자와 예수님을 발견합니다. 이 만남 속에서 구원은 어떻게 펼쳐질까요?

엘리야와 과부는 이미 인연이 깊습니다. 박해를 피해 숨어다니며 배고픔에 지쳤던 낯선 손님 엘리야에게 자신과 아들의 마지막 식사를 포기하고 바쳤던 환대의 여인입니다. 그 환대에 내린 축복으로 여인과 아들은 배고픔을 면했지만, 아들은 이내 병에 걸려 죽고 말았습니다. 여인에게 아들은 함께 죽을지언정 먼저 보낼 수 없는 사랑이었습니다. 이 죽음에 책임을 지겠다는 엘리야의 태도가 결연합니다. 어머니의 슬픔을 자신의 온몸에 담아 싸늘한 아들의 몸에 겹칩니다. 자신을 죽음의 현실에 내어놓은 행동입니다. 어머니의 눈물에 담긴 뜨거운 생명을 아들의 몸에 전하려는 몸부림입니다. 슬픔이 서로 닿아 이어졌을 때 생명은 다시 일어납니다.

예수님이 만난 장례 행렬은 두 겹으로 겹쳐진 슬픔을 또렷하게 합니다. 사랑하는 배우자를 잃은 사람이 남은 자식마저 보내는 무참한 현실입니다. 두 겹의 상실은 한 여인의 존재 자체를 지워버리려 합니다. 상여를 따르는 그의 발걸음은 자기 존재의 무덤을 향할 뿐입니다. 예수님은 이 죽음의 행진을 멈추게 하셨습니다. 어쩔 수 없는 절망의 행진을 멈출 힘은 오직 연민입니다. 측은지심입니다. 예수님은 연민의 손을 뻗어 감히 오염과 부정과 죽음의 현실에 ‘손을 댑니다.’ 죽음을 멈추고 생명을 살리는 일에 당신 손을 더럽히시겠다는 의지입니다. 그러나 슬픔과 절망에 닿은 손은 더럽혀지지 않고, 오히려 “젊은이”를 일으켜 세우며 여인의 존재도 지켜냅니다.

우리 사회에 상실의 슬픔과 죽음의 절망이 편만합니다. 우리는 이런 사건의 목격자이면서도 종종 방관자로 머물기도 합니다. 비난과 책임을 면하려는 변명에 분노하면서도, 어쩌면 이런 사회와 공동체를 만들어낸 우리 자신의 책임은 돌아보지 않거나 손을 멀리하려 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위로는 어머니에게 숙명을 인정하라고 요구하지 않습니다. 잃은 사람의 불행을 탓하지 않습니다. 다만, 그 슬픔의 깊이에 손을 내밀고 몸을 겹쳐서 어머니의 눈물과 온기를 다른 모든 생명을 품어 전하려 합니다. 죽음의 행렬을 가로막는 이 용기야말로 세상의 젊은 생명을 더 잃지 않고 세우는 신앙의 몸부림입니다. 타인의 슬픔이 우리 몸에 닿아 우리가 그 슬픔을 부축할 때 구원의 틈이 열립니다. 이것이 예수님의 연민이 낳는 구원이요, 우리 교회가 세상을 향해 펼치는 구원의 손길입니다.

돌아온 탕자 이야기 – 나는 누구의 그림자인가?

Sunday, March 6th, 2016


Rembrandt_Prodigal_Son.png

돌아온 탕자 이야기 – 나는 누구의 그림자인가? (루가 15:1~3, 11하~32)1

너무 잘 알려진 이야기에는 종종 함정이 있습니다. 복음서의 “돌아온 탕자” 이야기는 언제나 읽어도 감동과 아름다움이 넘치지만, 자칫 그 주제와 가르침에 너무 익숙해서 뻔한 이야기로 들리기도 합니다. 욕심 많은 아들이 아버지를 버리고 떠났다가 빈털털이가 된 뒤에야, 자신의 잘못을 크게 뉘우치고 돌아옵니다. 자비로운 아버지는 모든 잘못을 용서하고 그를 환대합니다. 우리는 종종 탕자의 삶을 살지만, 하느님은 우리를 기다리시고 늘 용서하십니다. 돌아오기만 하면 됩니다. 용서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런데 이것이 이야기의 끝일까요? 등장인물 세 사람의 삶에 드리운 그늘이 던지는 새로운 질문은 무엇일까요?

작은아들은 아버지를 없는 사람 취급합니다. “제 몫으로 돌아올 재산을 달라”는 말은 아버지의 죽음을 염두에 둔 요구입니다. 아들 눈에는 가장 친밀한 부모형제는 보이지 않고, 자신의 욕망을 채워줄 재산만 보입니다. 곁에 있는 이들에게 눈 감는 사람은 신앙이 들어서지 않습니다. 재산과 성공만 보는 사람은 절제를 잃기 쉽습니다. 결국, 그 자신의 실패와 생존의 위협 속에서야 깨닫고 결심합니다. 돌아가자! 그러나 그 다짐은 여전히 자신의 배고픔을 달래보려는 마지막 이기심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큰아들은 아버지에게 화를 냅니다. 자신이 이룬 업적과 성과가 무시당했다고 생각합니다. 가문과 전통을 자신이 지켰다면서 그에 합당한 보상과 지위를 요구합니다. 자기 경험과 세월로만 판단하려는 사람입니다. 결국, 그는 자기가 속한 집에 들어가지 않고 밖에 나온 사람이 되고 맙니다. 그도 역시 집에 있는 아버지의 존재를 무시하는 사람입니다. 자신을 인정해달라는 큰아들의 분노는 작은아들의 이기심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연약한 사람을 환대하기는커녕, 스스로 자신을 내쫓는 어리석은 판단입니다.

아버지는 버림받고 무기력합니다. 작은아들에게서 죽은 사람 취급을 받고, 큰아들에게서 배신을 당한 사람입니다. 그의 재산은 이미 큰아들의 것이니,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살진 송아지를 잡아 잔치를 베풀고, 돌아온 자식에게 옷을 해 입히는 일 말고는 없습니다. 그의 눈은 희미하고 얼굴은 세월의 주름에 무너졌습니다. 아들을 껴안는 한 손은 연약하도록 가녀리고, 다른 한 손은 수고로운 노동의 세월에 뭉툭해졌습니다. 그에게는 잃은 아들을 품에 껴안을 힘과 마지막 잔치를 베풀 능력밖에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 껴안는 품이 사랑과 신앙의 전부입니다.

이 세 인물은 우리에게 어떤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나요? 작은아들은 자기 꿈만 바라보는 젊은 세대를 대표할까요? 큰아들은 스스로 신앙을 잘 지켜왔다는 연륜의 신앙인을 가리킬까요? 아버지는 우리 근현대사의 거친 질곡을 견뎌왔던 세대일까요? 달리 물어보면, 방탕한 생활에서 돌아온 작은아들의 모습에 비친 나는 누구인가요? 스스로 자기 집을 거부해버린 큰아들 기성세대와 나는 얼마나 다를까요? 마지막 사랑의 힘으로 환대하는 늙고 병든 아버지의 모습은 거친 세월 속에서 고집 세고 인색해져버린 우리 자신에게 무슨 말을 건네는 것일까요?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3월 6일 사순 4주일 주보 []

빈자일등 – 고귀하게 빛나는 신앙

Sunday, November 8th, 2015

빈자일등 – 고귀하게 빛나는 신앙 (마르 12:38~44)1

Nanta_One_Lamp.png

‘빈자일등 장자만등’(貧者一燈 長者萬燈)이라는 불교 일화가 있습니다. 지금의 인도 지역 ‘사위국’에 ‘난타’라는 여인이 살았습니다. 가난하여 거리에서 잠자며 밥을 빌어먹어야 했습니다. 어느 날, 연등회 준비가 한창인 것을 본 여인은 자신도 부처님께 등잔 하나를 바쳤으면 했습니다. 여인은 구걸하여 얻은 동전 두 닢으로 기름을 사서 등잔에 부어 불을 밝혔습니다. 그 등잔은 부자들이 바친 것에 비해 너무도 초라했습니다. 밤이 깊어지자 등불이 하나둘 꺼졌습니다. 그런데 모든 등불이 다 꺼진 뒤에도 그 여인의 등잔은 꺼지지 않고 더 환하게 빛났습니다. 손을 휘젓고 입으로 불어도 꺼지지 않았습니다. 이에 부처님이 이렇게 말씀하셨다 합니다. “비록 보잘것없는 작은 등잔이지만, 마음 착한 여인이 온 정성을 다해 바친 등잔인 탓이다.” 부자들이 올린 만개의 등은 모두 꺼졌지만, 가난한 ‘난타’가 바친 등잔은 꺼지지 않았습니다.

어느 종교에서든 신앙의 도약은 자신이 가장 소중하다 여기는 것을 포기하거나 바칠 때 일어납니다. 오늘 엘리야가 만난 사렙다 여인의 환대와 예수님께서 목격한 가난한 과부의 헌금에서도 확인하는 진실입니다. 게다가 그 포기와 봉헌에는 자신을 드러내려는 마음이 없습니다. 끝까지 내려간 절망의 순간에서 나온 연민이 더욱 크게 빛납니다. 사렙다 과부는 쫓기다 지친 낯선 예언자를 안타깝게 여겨 자기 집에 모셨습니다. 자신의 마지막 밥을 지어 낯선 사람을 대접했습니다. 자신과 아들이 지상에서 누릴 마지막 기쁨마저도 남루한 손님을 환대하며 내놓았습니다. 그 여인이 어떤 보상을 기대했다는 인상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축복은 기대하지 않고 베푸는 자비의 실천과 포기의 신앙에 선물로 다가옵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자비와 연민의 종교적 행동을 사회와 정치에 깃든 신앙의 차원으로 안내하십니다. 부자의 헌금과 과부의 헌금을 크게 비교하시며 우리 삶을 정확히 보라는 말씀하십니다. 오늘 복음은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의 파괴를 예언하시고 당신 스스로 수난과 죽음의 길을 걷기 시작하시기 직전에 나옵니다. 무너져야 할 질서와 종교 행태를 드러내시는 한편, 새롭게 세워져 부활해야 할 질서와 신앙의 행동을 열어주십니다. 무너져야 할 질서는 분명합니다. 율법학자들은 지금의 판사나 검사, 대학교수, 고위성직자를 포함하는 직업군입니다. 이들의 지위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는 뜻이지만, 권력과 재산을 향한 욕심으로 책임을 무시하곤 합니다. 게다가 이들은 과부 같은 가난한 사람의 등을 쳐서 자신의 탑을 쌓습니다. 이들은 예수님의 말씀대로 “그만큼 더 엄한 벌”을 받으며 무너져야 합니다.

새롭게 세워야 할 삶의 질서와 신앙은 작은 사람의 헌신에 있습니다. 신앙인은 오히려 실패한 사람, 가난한 사람, 사회에서 차별받는 사람에게서 부활의 삶을 미리 봅니다. 신앙인은 세상이 부러워하는 성공과 성취와는 거리가 먼 삶을 한탄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주위의 작은 사람과 사물에 깊은 연민을 지닙니다. 신앙인은 자신이 사랑하는 것을 먼저 포기하고 내어주면서, 끝까지 밝게 빛을 발합니다. 이것이 새로운 삶을 여는 고귀한 신앙입니다.

Widow_Sarepta.jpg
(엘리야와 사렙다의 과부 – 베르나르도 스트로찌, c. 1640-44)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1월 8일 연중32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