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룩한 기억의 공간을 위하여

Saturday, April 16th, 2016

Remember_Sewol.png

거룩한 기억의 공간을 위하여1

주낙현 요셉 신부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하느님 앞에서는 그 누구도 잊히지 않으리라.” 전쟁이나 학살, 예기치 못한 참사로 무고한 보통사람들이 희생당한 일을 기리려고 기념비에 자주 쓰는 성서 구절입니다. 참새 한 마리의 생명도 하느님께서는 잊지 않으신다는 예수님 말씀입니다(루가 12장 6절).

차가운 돌에 새겨진 말씀 앞에 멈춰 섭니다. 촛불 하나를 켜서 한때 뜨거운 피로 움직였던 이들과 그들을 영원히 기억하시겠다는 하느님의 단호한 마음을 생각합니다. 잠시나마 침묵 속에서 불편한 죽음을 애써 외면하거나 잊으려는 우리 자신을 돌아봅니다. 창조의 하느님께서 잊지 않으시는데, 우리는 지상에서 함께 울며 웃고 뒹굴던 사람을 어찌 잊을 수 있을까요? 우리 몸을 찢고 나온 생때같은 어린 목숨과 힘없는 사람의 생명을 어찌 그만 잊으라 할 수 있을까요?

기억은 그리스도교에서 신앙의 동의어입니다. ‘기억 = 신앙’의 등식은 하느님의 구원 역사 전체에서 되풀이되는 명령입니다. “창조주를 기억하라” – 지상의 생명은 모두 하느님께 속해 있으며 지금도 하나로 연결되어있다는 말입니다. “에집트 종살이에서 끌어내신 분을 기억하라” – 억압과 불의의 역사를 끝내고 인간에게 자유와 정의를 베푸신 하느님을 품고 그 일을 우리 사회와 공동체 안에서 이어가라는 뜻입니다. “나는 너희와 맺은 모든 계약을 기억하겠다” – 고난과 역경이 있어도 신앙의 약속과 희망을 품은 이들과 함께하시겠노라고 하느님 스스로 다짐하십니다.

이 기억의 절정은 “나를 기억하여 이 일을 행하라”는 말씀입니다(아남네시스). 예수님께서 손수 제자들의 발을 씻고 당신의 찢긴 몸을 내어주시며, ‘기억은 신앙’이라는 진리를 성찬례에 영원히 새겨 놓았습니다. 씻고 내어주는 이 기억을 교회 공동체 안에서 우리 몸에 되새기는 일이 신앙이요, 밖으로 나가 이웃과 더불어 펼쳐나가는 일이 선교입니다.

그러니 생명을 품어 기억하시는 하느님의 행동이 신앙의 잣대입니다. 이 잣대가 아니라 세속 이념의 편견으로 죽음과 슬픔에 정치적 혐의를 두는 일은 하느님을 가리는 인간의 오만입니다. 이 잣대로 자신을 성찰하지 않고 생명을 잃은 슬픔과 고통의 울부짖음에 귀 막는 일은 신앙의 배신입니다. 신앙의 인간은 오롯하게 생명을 향한 하느님의 사랑 안에서 자식과 친지와 친구의 죽음을 마음에 새깁니다. 그 상실의 슬픔을 우리 마음에 품습니다. 세월의 바람과 안위의 물살이 그 생명의 기억을 망각할까 염려하여 돌과 거리와 공간에, 닳지 않는 사랑의 기억을 함께 남깁니다.

하느님의 기억과 인간의 기억이 만날 때 거룩한 신앙이 탄생합니다. 생명을 만드신 하느님의 아름다운 기억이 생명을 품다가 떠나보낸 인간의 슬픈 기억을 만나 서로 위로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랑과 슬픔의 기억을 품어서 기억의 촛불을 밝히고 위로와 희망의 기도를 바치는 곳은 어디든 거룩한 공간입니다. 영국 런던 서덕 주교좌성당의 기도처는 1989년 템스 강 유람선 침몰로 생명을 잃은 이들을 기억하고 그 가족과 친구들을 위로합니다. 커다란 돌판에는 하느님의 사랑 노래가 깊게 새겨져 있습니다. “어떤 큰 물살로도 그대의 사랑을 끄거나 쓸어가지 못하리”(아가 8장 7절).

우리는 거룩한 기억의 공간을 우리 신앙과 공동체에 마련하고 있나요?

Southwark_Thames.pn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복음닷컴] 2016년 4월 17일 치 []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 – 부활의 고백과 신앙

Sunday, April 3rd, 2016

6548846465_1c747860ee_b.jpg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 – 부활의 고백과 신앙 (요한 20:19~29)1

이제는 “의심하는 토마”라는 낙인을 지울 때도 됐습니다. 이런 별명은 요한복음 기자의 미필적 고의입니다. 오늘 복음 이야기에 나타난 신앙고백과 초대 교회의 전설이 전하는 선교 활동을 보더라도, 토마는 부활의 선교 정신을 용기 있게 실현한 사도입니다. 다른 제자들이 “무서워서” 문을 걸어 잠그고 모였던 집에 그는 없었습니다. 예수님을 뵈었다는 소식에야 그 집에 돌아와 애타게 예수님을 찾았습니다. 그는 어디에 있었을까요?

이 의문은 두려움에 떨던 다른 제자들과는 달리 토마가 위험을 무릅쓰고 밖에서 예수님의 시신을 찾으러 다녔다는 상상력으로 우리를 이끕니다. 이 절박하고 애타는 용기가 그의 신앙고백으로 이어집니다.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다른 제자들 가운데 나타나시어 평화의 인사를 나누시고 ‘성령의 숨’을 불어넣으셨지만, 그들은 그다음에도 여전히 ‘문을 걸어 잠그고’ 있었습니다. 부활하신 예수님과 토마만이 두텁게 쌓아 올린 마음의 벽을 자유롭게 넘나듭니다. 게다가 예수님의 인사와 말씀에 자신의 입술과 마음으로 응대하는 사람은 토마 뿐입니다.

신앙의 문제는 ‘무서워서 안으로 문을 닫아거는’ 상황에서 비롯하곤 합니다. 상실감과 배신감에 지쳐서 자기 마음을 걸어 잠그면, 오히려 자기 연민에 빠지거나 새로운 죄책감이 찾아듭니다. 자신의 신앙 체험에만 몰두하다가 자신의 의로움을 내세우거나, 자신이 이뤄낸 성과에 집착하여 자기 안녕이라는 좁은 성안에 스스로 갇히곤 합니다. 이 위태롭고 안절부절못한 우리에게 부활하신 예수님이 닫힌 벽을 뚫고 부활의 인사를 건네십니다. “너희에게 평화가 있기를, 너희 자신을 용서하기를!”

부활하신 예수님은 우리 삶을 봉쇄하고 역사를 왜곡하는 온갖 분열과 차별, 편견과 미움의 벽을 꿰뚫고 들어오십니다. 우리는 스스로 완벽할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부서지고 결함 있는 ‘틈’을 인정할 때, 부활의 생명이 그 ‘틈’ 사이로 들어오십니다. 우리 삶에서 얻은 찢어지고 터진 상처 사이, 의심하며 흔들리는 마음의 틈이야말로 하느님의 은총이 우리 안에 들어오는 통로입니다. 꿰뚫고 들어오시는 부활의 생명에 자신의 연약함을 여는 일이 참된 용기이며 바른 신앙입니다.

토마는 자신의 불완전한 신앙을 정직하게 대면했습니다. 정직한 의문을 부끄러워하지 않았습니다. 평화와 용서라는 성령의 숨을 먼저 받은 다른 제자들에게서는 신앙고백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독특한 체험이나 특정 교리를 덮어놓고 확신하는 일은 하느님의 은총에 자신 전체를 개방하는 신앙과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불완전하게 흔들리는 삶 앞에, 위험을 무릅쓰고 신앙의 진실을 찾으려는 애타는 용기 앞에, 부활하신 예수님은 평화와 용서의 음성으로 우리를 감싸며 우뚝 서 계십니다. 그때라야 비로소 우리는 자신의 목소리로 응답할 수 있습니다.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4월 3일 부활 2주일 주보 []

종려가지와 십자가 사이 – 인간의 배신과 희망

Sunday, March 20th, 2016

Entry_Jerusalem_Spanish_mural.jpg

종려가지와 십자가 사이 – 인간의 배신과 희망 (루가 23:1~49)1

‘호산나, 찬미 받으소서’ 하며 외치던 환호와 ‘그 사람을 죽이시오’ 하는 성난 외침 사이에 도대체 무슨이 있었던 것일까요? 종려가지를 들고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축하하던 사람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고함치는 데는 불과 며칠이 걸리지 않습니다. 성지를 축복하고 손에 받아든 채로 우리는 주님의 수난 복음을 듣습니다. 이 격렬한 변질과 모순의 순간을 성주간 전례 안에서 우리 자신과 사회를 돌아보며 뼈아프게 직시하라는 부탁입니다.

불의한 재판과 모진 고문, 고통스러운 십자가 처형이 이어집니다. 인간의 배신은 재빠르고, 희망의 신뢰는 희미합니다. 오늘 복음에서 우리는 희망을 욕망으로 맞바꾸는 우리 자신의 연약함, 진실을 알고도 모략으로 덮어버리는 권력의 뻔뻔함을 목도합니다. 힘을 보여줄 때 가까이하던 이들이 슬금슬금 꽁무니를 빼고, 멀리 주변부에서 안타깝게 지켜보던 이들이 조심스럽게 십자가 고통의 목격자로 중심에 등장합니다. 인간 내면의 어둠과 사회 외면의 불의 속에 감춰진 것들을 드러내며, 인간의 기존 생각과 관계를 뒤집는 일이 주님의 십자가 수난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루가복음서는 예수님의 죽음이 정치적 사건이라고 분명하게 고발합니다. 종교 권력과 정치 권력이 야합하여 예수님을 죽음으로 내몹니다. 예수님의 무죄를 분명하게 알고 있는데도, 권력자들은 대중의 인기에 영합하려는 정치적 술수로 진실과 정의를 묻어버립니다. 서로 경쟁하던 기득권자들은 정치적 인기주의에 몸을 던져, 무고한 사람을 희생하는 불의를 작당하면서 서로 ‘다정한 사이’가 됩니다. 무죄한 사람을 죽음으로 내몰고도 자신은 책임이 없다는 뻔뻔한 변명을 내놓습니다. 모든 형태의 기득권자와 권력자가 보이는 이런 행태를 신앙인은 식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어떤 항변도 없이 무기력하게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 곁에 다가온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시골 무지렁이 키레네 시몬이 난데없이 등장하고, 제자들마저 도망친 십자가의 길을 눈물 흘리며 동행하는 여인들이 예수님의 위로를 얻습니다. 십자가 처형 틀 위에서 같은 죽음의 고통을 받던 죄수가 낙원의 약속을 받습니다. 이들은 신앙의 내력, 재력과 권력과는 상관없는 사람들입니다. 다만, 하릴없이 고통과 고난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입니다. 예수님은 이들과 함께 십자가 위에서 이름없이 고통받는 이들의 연대를 선언합니다. 고통의 연대를 통하여 인간과 사회 안팎에 너절한 차별과 분열과 분리의 ‘휘장’을 찢어내는 일이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의 명령입니다.

환호의 종려가지가 아니라, 고통의 십자나무 위에 우리의 희망과 세상의 구원이 달려있습니다. 높은 권력의 기득권을 ‘비워서’ ‘종의 신분’으로 내려앉아 세상 고통의 밑바닥과 손을 잡을 때, 우리는 다시 일어설 수 있습니다. 신앙인은 이 모든 일의 증인입니다.

ecce_homo.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3월 20일 성지 및 주의 수난 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