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와 예언: 케네스 리치 선집 서평

Tuesday, June 7th, 2011

케네스 리치(Kenneth Leech, 1939~ ) 신부는 영국 성공회의 대표적인 성사적 사회주의 활동가요 신학자이다. 이미 그의 책이 우리말로 여러 권 번역되어 있다. 그에 대한 소개와 우리말 번역서 목록이 있으니, 따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그의 저작 선집이 수년 전에 나왔고, 그에 대한 서평을 발견하여 여기에 옮긴다. 그를 어떻게 읽을 것인지에 대한 간단하고도 명료한 지침이 되리라 생각한다.

서평 – 기도와 예언: 케네스 리치 선집

Prayer and Prophecy: The essential Kenneth Leech
David Bunch and Angus Ritchie, editors

피터 맥기어리 신부

케네스 리치는 위험한 인물이다. 예언자들은 대체로 그렇다. 그는 사목 활동 대부분을 런던의 이스트 엔드에서 보냈고, 거기서 그의 놀라운 저작들이 솟아났다. 슬프게도 그의 저작 대부분은 이제 읽히지 않거나 알지도 못한다(실은 피한다!). 영국 성공회가 점차로 신-국교주의가 된 탓이다.

이 때문에 지난 4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케네스 리치가 쓴 글의 선집을 편집한 데이빗 번치와 앵거스 릿치에게 감사해야 한다. 이제 그의 여러 유명한 저작과 편지, 논문들, 다른 글, 그리고 그의 초기 시까지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선집을 마련하는 일은 쉽지 않다. 다른 글들을 빼야 하니까. 그러나 편집자들은 리치의 미출간 글들을 들춰볼 수 있었다. 이 자료들은 지금 이스트 런던 성 캐서린 재단에 보관된 것들로 계속 정리 작업 중이다. 이 책에서 여러 부분을 나누는 일도 어려웠으리라 생각한다. 모든 것이 연결된 리치의 만다라 같은 글들은 기도와 행동을 분리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이다.

나는 켄 리치와 같은 목소리가 오늘날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의 목소리는 내게 명백함과 정직함과 진리다움을 늘 되새기도록 했다. 물론 그의 목소리는 신랄하고, 불편하게 만드는 것이긴 했다.

그의 입장은 값싼 성상파괴주의가 아니었다. 그는 자기가 싫어하는 장난감을 내팽개치는 어린아이가 아니라는 말이다. 바로 본다면, 그는 예언자다. 모든 이들, 특히 권력과 안정된 자리에 있는 사람들을 당황하게 한다. 그의 예언자적 목소리는 항상 성찬례를 중심으로 한 교회의 예배에 근거했다.

그가 지닌 사상의 주류는 무엇일까? 그것을 정확하기 요약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러나 나는 개인적으로 이렇게 생각한다.

  • 제대로 이해한다면, 공교회주의(catholicism)는 명백한 일상 속에서 거룩함을 찾는 일이요, 역으로, 거룩함 속에서 일상을 찾는 일이다.
  • 교회는 세상을 하느님의 창조 질서로 확신하면서 예언자적 증언을 하도록 부름을 받는다. 그러므로 끊임없이 비판적으로 세상을 평가하고, 특별히 권력과 부의 자리에 있는 이들을 평가해야 한다.
  • 그런데 이 비판적 행동은 영국 성공회가 지닌 ‘국교’라는 지위 때문에 늘 훼손된다. 그러나 바빌론이 가져다주는 위안은 시온을 향한 싸움과 양립할 수 없다.
  • 기도와 관상, 성서와 성사에 끊임없이 기대는 일은 본질적이다. 급진적이 된다는 것은 사물의 뿌리에 돌아간다는 것이다. 이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 참여와 행동에 더 깊이 관여할수록, 관상적 기도가 더욱 필요하다. 이는 이것 아니면 저것의 관계가 아니다.
  • 우리는 사람들과 있는 그대로 시작해야 한다. 우리가 원하는 사람은 어디에도 없다. 우리가 바라는 사람으로 그들을 변화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책을 사시라! 그의 다른 책을 갖고 있더라도 말이다. 재빨리 읽거나, 차례대로 읽지는 마시라. (내가 보기에 5장부터 시작하는 것이 낫겠다. 리치에게 영향을 미친 사람들과 장소들에 대한 생각을 얻기에 좋다.) 그리고 그대가 지닌 그리스도교 신앙에 안주한다고 생각할 때마다 다시 읽으시라. 그래서 이 살아 있는 목소리가 그대를 휘저어서 늘 새롭게 하도록 하시라.

저자: The Revd Peter McGeary, http://goo.gl/q95TC
번역: 주낙현 신부
후원: 김종명 교우 (서울교구, 대학로 교회)

성소 주일 잡감 – [주교] 성직 소명 체크 리스트

Saturday, May 14th, 2011

몇 년 전 천주교 신부 친구가 웃자고 들려준 말이다. 신학교 졸업 설교를 하던 학장 신부님께서 아주 슬픈 표정으로 이렇게 말씀하시더란다. “여러분을 내보내는 제 마음이 두렵도록 떨리고 아픕니다.” 신학생(부제/사제)들은 마침 “이제 내가 너희를 보내는 것은 마치 양을 이리떼 가운데 보내는 것과 같다”(마태 10장)는 말씀을 복음으로 들은 터라 잔뜩 기대하고 있었다.

잠시 침묵 뒤, 학장 신부님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내가 마치 이리를 양 떼 가운데 보내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두렵고 떨리고 아픕니다.”

언제나, 특히 서품 기념일이 있는 5월이면 이야기가 떠오른다. 게다가 한국은 오늘 부활 4주일을 ‘착한 목자 주일’과 ‘성소 주일’로 지킨다(주일 복음 본문 요한 10:1~10).

성소 주일에 생각하는 ‘성소’란 무엇인가? 성소는 모든 세례받은 신자들이 나누는 하느님의 부르심이요, 선교 명령일 테다. 그 가운데 ‘성직 성소’가 하나로 있을 뿐이다. 그것은 여럿 가운데 하나이지, 질적으로 다른 성소가 아니다.

5월이면, 이 착한 목자 주일, 성소 주일과 더불어, 성직 서품이 있다. 오랜 식별 과정과 기간의 중요한 마디점이다. 모든 성소 식별이 그렇듯, ‘성직 성소 식별’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니, 성직 서품으로 완성되는 일이 아니다. 그 계속되는 식별에 성직을 걸어야 한다.

이 식별이 늘 말썽거리란다. 우리는 어떻게 성직 열망자를 식별하여 신학교에 보내는가? 신학교의 성직 ‘양성’ 과정에는 어떤 식별 과정이 적용되는가? 졸업 후 다시 전임 전도사 생활 1년 반을 거쳐 성직의 첫 관문인 부제 성직, 그리고 다시 2년 후 사제품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어떤 식별의 과정에서 자신과 공동체를 헤아려 보고 있는가? 이 성소 식별은 판단이 아니라, 한 사람의 내면을 발견하고 하느님께서 품으신 참 소명이 무엇인지를 알아가는 과정일 테다. 이 식별을 도와주는 성소위원회은 어떻게 운영되며, 성소위원들 자신은 어떤 식별의 훈련을 통해서 이 성소자 면접에 응하는가?

성직 성소의 식별은 부제품과 사제품을 위한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교회는 멀게는 십수 년 짧게는 수년에 걸쳐 한 번씩 주교를 뽑는다. 그런데 이 과정이 선거가 되어 버렸다. 주교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부제품과 사제품에 해당하는 성소 식별 과정이 존재하는가? 없다면 크게 잘못된 것이다. 그 역시 식별이어야 하고, 적절한 식별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 교회의 가장 큰 지도자를 식별하는 일에 그 교회의 미래가 달렸다.

이 과정에서 성소자 스스로 묻고, 그 식별을 돕도록 물어야 할 질문은 어떤 것일까? 성직 서품받기를 기다리며 마지막 개인 식별에 있을 이이든, 서품 기념일을 맞는 이이든, 주교직에 있는 이이든, 계속해서 던져야 할 질문은 어떤 것일까? 이미 그에 관한 이야기들은 이 블로그 이곳저곳에 적었으니, 오늘은 다른 이의 말도 들어본다.

주교 선출을 맞아, 영국 성공회의 은퇴한 사제가 던지는 질문은 주교뿐만 아니라, 모든 성직자, 성직후보자, 그리고 신자들이 늘 되새겨야 할 말이다.

주교 선출 위원회의 면접위원들은 적어도 이 다섯 가지 질문을 던지기를 바란다.

첫째, [주교] 후보자는 자신의 고통을 어떻게 다스려왔는가? 과거의 고통이 지금도 자신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는가? 우리가 알지 못하거나 살펴보지 못한 고통으로 우리는 다른 사람과 우리 자신에게 상처를 준다. 그렇다면 힘을 부리는 자리에 있는 사람은 특별히 이 부분에 대한 자각이 필요하다. 후보자가 자신의 개인적인 슬픔을 잘 보듬는 사람이라면 좋겠다.

둘째, 후보자의 전반적인 실체는 무엇인가? 그가 만드는 분위기와 환경은 어떤 것인가? 그가 가진 희망과 평화를 통해서 사람들이 꽃을 피우도록 돕는가? 아니면 그가 발설하거나 풍기는 비판 속에서 사람들이 말라 죽는가? 뽑혀야 할 사람은 예수 이야기를 멋지게 설교하는 사람이 아니라, 살아가는 사람이다. 누구를 판단하려는 ‘영’은 종교적 권위의 자리에 앉은 이들에게 늘 유혹이다. 이 판단하려는 영은 훼손된 영혼에 사로잡혀, 덕을 세우기보다는 두려움을 만들어 낸다.

셋째, 후보자가 면담하는 동안, 그 면접위원들에게 어떤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 훌륭한 예술 작품이나 철학, 그리고 종교는 고향에 대한 독특한 열망에 관여한다. 사람은 그 내적인 열망의 불꽃이 있으나 사는 동안 이것이 억압당하기 때문이다. 뭔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주교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우리가 잃은 것을 회복하도록 돕는 주교가 필요하다.

넷째, 그의 꿈(vision)은 무엇인가? 진실한 꿈은 다음 세 가지를 수행한다. 사태와 사람을 있는 그대로 본다. 의심 속에 있는 사람들을 서로 연결하여 연대하도록 연결해 준다. 그리고 지도자가 되는 과정에서 그 꿈이 솟아난다. 사람들은 다만 그 지도자와 더불어 원래 자신의 모습을 창조하는 것이다.

다섯째, 후보자는 자신의 말이 말도 안 되는 생각, 곧 무너질 내용, 전혀 정확하지 않은 내용을 멋지게 표현한 것일 뿐임을 지각하는가? 진실은 어떤 공식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진실은 오직 그가 슬쩍 비추는 웃음과 인사, 표정 속에서 드러난다. 좋은 후보자는 말에 자신을 세우지 않는다. 그는 여러 틈과 사이에서 삶이 자라나기를 희망하는 사람이다.

바로 이런 이가 주교관을 써야 한다.

원문: 사이먼 파크, http://goo.gl/mXW74
번역: 주낙현 신부
후원: 송경용 신부 (서울교구, 걷는 교회, 나눔과 미래)

일치 – 신적인 긴박성과 인내심 사이에서

Tuesday, April 26th, 2011

복음서에서 가장 감동적인 장면 하나를 들라면, 주저 없이 요한복음에 나온 예수의 고별사를 들겠다(요한 13장~16장). 뒤따르는 예수의 청원 기도는 그리스도교 영성 신학의 핵심이다(17장).

이들도 우리처럼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이들을 진리로 거룩하게 해 주십시오.

일치란 무엇인가? 그 선언을 교회라는 구체적인 현실에 적용할라치면 예수님의 일치 청원 기도 같은 간절한 깊이는 쉽게 사라지곤 한다.

분열된 그리스도교 세계는 그동안 일치를 추구했으나, 늘 자신을 중심으로 일치해야 한다고 맞섰다. 로마는 로마 주교의 수위권을 중심으로 일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정교회는 정통 신조를 진리인 듯 내세우며 그에 합의해야 한다고 목청을 돋운다. 가시적 일치는 필요 없으며 영적이며 내적인 진리를 개인적으로 깨달으면 그만이라는 생각이 개신교에는 편만하다.

세계 성공회는 여성 성직 문제, 동성애자 성직 문제를 두고 분열을 거듭한다. 지난 20세기 스스로 선두에 섰던 교회 일치 운동(에큐메니칼 운동)의 노력과 성과를 무색케 하는 현상이다. 여기에는 ‘진리’를 손아귀에 잡은 것 마냥 행세하는 이들이 있다. 우리는 그저 저마다 진리의 ‘파편’을 지니고 있을 뿐이라는 성공회 전통의 겸손함도 엿보기 어렵다. 자신의 잣대를 들이대어 다급하게 정죄하느라 바쁘다.

지역 교회 차원에서는 어떤가? 교구의 전례 행사는 그 본뜻에서 성직자들과 신자들, 즉 모든 교회가 하나라는 가시적인 표현이다. 성 목요일 성유축복미사에 갑작스럽게 끼어든 “사제 서약 갱신”도 그 서약의 되새김으로 양보하더라도, 그것이 어떤 권위에 대한 ‘순종’을 위한 행사로 비치는 동안에 그 일치의 뜻도, 원래 예식의 뜻도 심각하게 훼손된다. 그 행사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의도적이든 아니든, 그 뒤에는 어떤 불신이 자리하고 있을 텐데, 희미해지는 신뢰를 회복하지 않고 모종의 으름장이 뒤따른다면, 그 조직의 앞날이 걱정스러울 테다.

교회 역사를 들춰보면 억압적 권력의 행사는 대체로 ‘일치’라는 이름 아래서 진행되었다. 예수님 고별사와 청원 기도에 담긴 일치의 근본인 사랑이 희미해지고 조직과 특권을 위한 다급한 일치가 앞서면서 그 본뜻에서 멀어진 것이다. 급기야 일치를 빌미삼아 통제가 자리 잡곤 했다. 이런 과정에서 전례도 그 본래 넓은 뜻을 잃고 교회 조직의 언어와 행동을 획일화하는 도구로 전락하기 일쑤였다.

이참에 마이클 램지(Michael Ramsey) 캔터베리 대주교의 글 토막을 읽는다. 그 자신은 신학적으로 보수적이었고, 교권의 최고 위치에 있으며, 20세기 교회 일치 운동에 획을 그었던 인물이었다. 그는 서두르지 않았다. 일치는 ‘신적인 긴박성과 신적인 인내심’ 사이에 자리 잡아 우리를 거룩하게 하는 진리를 성찰하며 살아가는 동안에 마련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일치. 요한복음 17장은 그리스도께서 제자들의 일치를 위해 기도하신 말씀을 기록하고 있다. 그리스도인이 되려면 일치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같은 기도에서 그리스도께서는 제자들이 거룩하게 되기를 기도하셨음을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이 진리를 알도록 기도하셨다. “이들을 진리로 거룩하게 해 주십시오.”

일치와 진리와 거룩함. 이 셋은 분리할 수 없다. 일치는 진리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리스도교 일치는 신학적 얼버무림이나 무관심에 근거할 수 없다. 거룩함이란, 그리스도께서 바라시는 대로 우리가 서로 하나가 되고, 우리가 그리스도와 하나가 됨으로써 우리는 거룩한 사람이 되도록 부르심을 받았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재일치는 진리의 회복과 더불어 가야 하고, 우리 삶을 다시금 거룩하게 하면서 가야 한다. 이 모두가 우리에게는 긴급한 일이다. 그 어느 것 하나를 먼저 내세울 수 없다. 그러므로 거기엔 신적인 긴박한 요구가 있고, 신적인 인내가 있다.

in Introducing the Christian Faith, SCM,1964.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