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과 성찰 – 아담과 예수 사이

Sunday, March 5th, 2017

Michelangelo_Sündenfall.jpg

유혹과 성찰 – 아담과 예수 사이 (마태 4:1-11)

유혹은 서툰 생각의 틈새를 비틀어 벌려 놓으면서 시작합니다. 이 말이나 저 말이나 비슷하다고 쉽게 넘어가려는 게으름을 파고듭니다. 다만, 오늘 창세기 본문(2:15-17, 3-17)을 유혹에 넘어간 ‘여성 하와’로 읽지는 맙시다. 그렇게 읽으면 성차별적인 해석으로 흐를 위험이 있다고 성서학계는 경고합니다. 하와는 아담과 ‘같은 뼈, 같은 살’을 나눈 동체이며, 유혹으로 미끄러지는 인간의 한 모습을 드러내는 이야기의 한 고리일 뿐입니다. 오늘 성서 독서의 배열은 창세기에서 유혹에 넘어간 인간(하와와 아담)과 복음에서 유혹을 물리친 예수님을 비교합니다. 또한, 세상의 질서와 하느님 나라의 질서를 비교합니다.

유혹은 그럴듯하게 명백하고 매끄럽게 흐릅니다. 하느님께서는 “생명 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9절)를 세우셨습니다(이 두 나무가 같은 나무라는 것이 학계의 통설입니다). ‘따먹지 말라’는 금지 명령은 하느님이 만드신 생명을 무엇이라도 쉽사리 빼앗거나 억압하지 말라는 뜻이며, 선과 악을 손쉽게 판단하려 들지 말라는 경고입니다. 이때, 뱀이 나타나 원래 의도를 비틀고 내용을 과장하여 사람의 분노를 부추깁니다. 자신이 믿고 싶은 것을 ‘사실’로 단정하게 만듭니다. 그런 뒤 ‘눈이 밝아지리라’는 거짓 약속을 합니다. 이러한 유혹이 인간 마음으로 파고들 때, 하느님과 경쟁하려는 의식이 생겨납니다. 이 경쟁의식은 ‘권력’에 대한 환상으로 이어집니다. 이 환상 안에서 하느님과 인간은 동료가 아닙니다. 함께 동산을 거닐던 하느님과도 멀어지고, 사람도 서로 멀리하여 숨기기 시작합니다. 인간은 자신을 괴롭히는 내면의 어둠을 만들어 스스로 빨려들어갑니다.

반면, 복음은 창세기의 이야기를 뒤집습니다. 예수님의 세례 사건 뒤로 광야의 유혹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세례는 하느님과 경쟁하고 다른 사람의 부끄러움을 쉽게 판단하면서 뒤틀린 관계를 새롭게 회복하는 사건입니다. 세례 때 들려오는 하늘의 목소리는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사랑과 친밀함을 다시 선포합니다. 유혹에 넘어가 자기 의심을 증폭하는 아담과는 달리, 예수님은 성령에 자신을 내어주고 악마의 유혹에 용기 있게 맞섭니다. 생명을 살리는 선한 ‘빵’마저 유혹에 악용되는 세상의 질서를 간파하십니다. 하느님에게서 받은 능력을 자기 과시의 ‘마술 행위’ 정도로 끌어내리는 행동을 거부하십니다. 하느님 나라의 꿈과 윤리를 이 세상의 도덕 수준으로 낮추려는 태도를 훌쩍 넘으십니다.

인간 내면의 약한 어둠 때문에, 정의와 공평의 주장마저도 유혹의 미끄럼틀을 타기 쉽습니다. 진실을 감추려는 뻔뻔한 억지는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성급하고 성난 주장은 모두 세상을 장악하려는 경쟁의식로 빨려들어 ‘모든 사람의 심판’과 파멸로 이끕니다. 그러나 하느님 나라를 함께 지키고 세우려는 헌신은 길고 지루하며 조심스러운 용기입니다. 이를 통과할 때 우리는 ‘풍성한 은총의 생명’으로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에 다가섭니다.

성실한 자기 성찰과 면밀한 배움의 대화가 없이는 세상의 질서와 하느님 나라의 질서를 구분하는 식별력을 갖추기 어렵습니다. 자신을 성령에 맡겨 거친 ‘광야’에서 힘들게 훈련하는 과정이 자기성찰과 신앙의 길입니다. 사순절은 그 훈련의 초대입니다.

Temptations_of_Christ_(San_Marco).jpg

가짜 걱정, 진짜 신앙

Sunday, February 26th, 2017

cross_flower.png

가짜 걱정, 진짜 신앙 (마태 6:22-34)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 꽤 널리 알려진 이 티베트 속담에는 지혜와 핀잔이 함께 들어있습니다. 삶이 복잡하다 보니, 하느님께 모든 일을 맡기겠노라 다짐하는 신앙인의 삶도 염려와 걱정이 없을 리 없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걱정하는 신앙인을 핀잔하시지 않습니다. 다만, 그 이유를 밝히시고 우리 마음을 격려하시고, 마음의 방향을 바꾸라고 초대하십니다.

‘선택하십시오. 하느님입니까, 재물입니까?’ 우선순위를 정하라는 명령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사람이 먹을 것과 입을 것, 돈과 재물 없이 살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아셨습니다. ‘주님의 기도’에서도 분명히 ‘하루에 필요한 양식’을 달라는 요청이 있습니다. 삶에 필요한 재물을 주시는 분은 하느님이십니다. 하느님을 먼저 섬기는 일은 우리를 자유와 은총으로 이끌지만, 재물에 먼저 눈을 팔면 걱정과 불안의 노예로 전락합니다. 재물과 안정에 안달하다 생긴 불안과 걱정을 덜어달라고 하느님을 부르면 신앙이 아니라 염치없는 일입니다.

세상의 기준이 부추기는 재물의 성공과 지위의 성취는 우리를 자주 환상으로 이끕니다. 돈과 권력이 있으면 우리 사람을 마음대로 할 수 있으리라는 환상입니다. 오늘 사도 바울로가 경고하는 ‘자기기만’입니다(1고린 3:18). 이 환상이 현실이 되어서 잠시 기쁨이 넘치기도 하지만, 금세 또 다른 염려와 걱정에 사로잡히기 일쑤입니다. 마음과는 달리 타인의 성취가 부러움과 질시의 대상으로 다가오고, 자신의 처지가 부끄러워 보이기도 합니다. 얻은 사람은 그 성취감에 휘둘려 타인을 업신여기는가 하면, 얻지 못한 사람은 낭패감에 휩싸여 자신을 낮추어 봅니다. 재물이 가져다준 환상과 기만입니다.

하느님은 우리 존재 그 자체를 보십니다. 이사야 예언자의 입을 빌려 우리의 정체를 밝히십니다. 우리는 하느님께서 “손수 빚은 사람”입니다. 하느님의 수고와 숨결이 깃든 우리 존재가 저 잘난 환상과 저 못난 패배감에 둘러싸인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자신의 성공을 유지하거나, 자신의 상처를 보호하려 자기만의 ‘성’을 쌓기가 쉽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성이 아니라, 자신의 감옥이 되고 맙니다. 이 감옥에서 가진 것을 잃을까 염려하고, 더 상처받을까 걱정하고만 삽니다.

하느님께서 초대하십니다. “감옥에서 어서 나오너라”(이사 49:9). 웅크리고서는 사랑을 받을 수 없습니다. 자기 기만과 연민의 자기 중심성은 하느님의 사랑을 가로 막습니다. ‘가짜 걱정’에 휩싸여 자신의 위로와 안위를 먼저 구하지 말라는 말씀입니다. 하느님께서 어련히 하시겠느냐는 위로입니다. 그보다 먼저 “하느님 나라와 하느님께서 의롭게 여기시는 일을 구하라”는 명령에 따라는 사는 일이 ‘진짜 신앙’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 삶의 여러 질곡에서도 사랑으로 보살피시니, 우리는 세상을 자유와 정의와 평등으로 보살피는 신앙인입니다.

[전례력 연재] 주의 봉헌 축일 – 역사가 빛으로 만날 때

Saturday, February 11th, 2017

candlelight.jpg

주의 봉헌 축일 – 역사가 빛으로 만날 때  ((성공회신문 2017년 2월 11일치 5면))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주님의 성탄에 담긴 ‘빛의 오심’과 공현에 깃든 ‘빛의 널리 퍼짐’의 뜻은 주의 봉헌 축일에 절정을 맞는다. 1년 동안 교회 전례와 가정 기도에 쓸 양초를 축복하고, 새 촛불로 제대를 밝히고 순행하면서, 이 세상과 역사 안에서 우리 신앙인이 빛의 순례자로 살아가겠다고 다짐하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희미해진 이 축일은 역사 안에서 복잡하게 발전했다. 대체로 공현 축일(1월 6일) 40일 후인 2월 14일에 지키던 관습이, 성탄 후 40일인 2월 2일로 바뀌어 자리 잡았다. 지금은 성탄 장식을 공현일 전야에 치우는 관습에 익숙하지만, 장식을 이날까지 남겨두며 성탄의 기쁨을 연장하는 전통도 많았다. 오랫동안 전례 색깔은 장엄과 절제의 흑색이나 자색이었지만, 몇 세기 전부터 기쁨과 환희의 백색으로 바뀌었다.

신학의 강조점도 결을 달리하며 겹쳤다. 아기의 봉헌이 초점인가 하면, 성모 정결례라는 별명처럼 산후 축복과 감사 예식의 근거가 되기도 했다. 촛불 예식 자체로 빛이신 그리스도를 기리는가 하면, 나이든 세대의 간절함이 젊은 세대의 희망으로 이어지는 만남이기도 했다. 한편, 이 봉헌의 기쁨 안에 서린 슬픔과 아픔이 아련하게 남는다. 하느님의 은총 안에 있는 신앙인도 삶 속에서 우리 “마음은 예리한 칼에 찔리듯 아플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역사의 아픔을 통과하면서 거짓 안에 “숨은 생각은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 아픈 사명을 새기며 신앙인은 사순절의 순례를 준비한다.

이러한 전례와 신앙의 역사가 신앙인의 봉헌 생활을 새롭게 비춘다. 요셉과 마리아는 빈궁한 살림에서도 작은 정성을 마련하여 바친다. 삶과 생명을 주신 하느님의 은총에 응답하는 마땅한 행동이다. 마침내 그들은 아기 예수를 봉헌한다. 봉헌된 아기 위에 우리 자신의 삶이 포개진다. 그리스도교의 봉헌은 제물을 드리는 제사 행위가 아니라, 우리 삶을 바치는 헌신의 행동이다. 신앙은 역사 안에서 생명을 살리고 진리를 밝히는 일에 헌신하는 일이다.

이 봉헌의 현장은 새로운 만남의 공간이다. 인생의 황혼이 되도록 세상의 구원을 겸손하게 기다리던 시므온, 온갖 차별을 이기며 여성 예언자로 홀로 활동하며 늙은 안나를 만난다. 이들 신앙의 어른은 겸손한 기도로 새로운 세대를 격려하고 지지한다. 자기 시대에 갇히지 않고 미래를 향해 열려있는 신앙이 황혼의 원숙한 신앙이라고 몸소 증언한다.

시므온의 찬가는 주님 봉헌 사건의 절정이다. 젊고 새로운 이들을 환대하고 격려하여 신앙을 물려주는 일이 구원과 연결된다. 선택된 소수만을 위한 옛 종교가 아니라, 만민에게 베푸시는 구원의 신앙이 새롭게 펼쳐진다. 이방인들과 낯선 사람들도 누리고 기뻐하는 구원이 열린다. 이것이 신앙의 대를 잇는 방법이며 선교이다. 이처럼 인생의 마지막 시간을 걷는 사람들과 갓 태어난 이들이 신앙 안에서 만날 때 새로운 역사가 열린다.

그리스도는 빛이다. 역사 안에서 그 빛을 들고 따르는 사람이 그리스도인이다. 남녀노소 저마다 작은 빛들이 모여서 한 무리 큰 빛이 된다. 이렇게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다.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역사 안에서 어두운 세상을 밝히고 변화를 가져다주는 빛의 순례자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