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토요일: 무덤의 침묵

Friday, April 6th, 2012

성삼일(Holy Triduum)과 그 전례적 의미에 관한 글을 작년에 서울 교구 성직자들과 나눴다. 그 글을 이룬 파편들은 이미 이 블로그 여기저기에 있으니, 이곳에 적지 않은 성 토요일에 관한 부분만 따서 옮긴다.

~~~

성 토요일은 성 금요일이 보여주는 부재와 결핍이 가장 고조된 날이다. 십자가 처형 후 예수님의 시신은 내려져서 아리마태아 사람 요셉이 마련해 둔 무덤에 안치되었다. 그 무덤은 어둡고 차가운 곳이다. 그 무덤은 단단하게 막혀서 어떤 생명도 느낄 수 없는 곳이다. 부재와 침묵의 그늘이 지배하는 곳이다. 십자가 처형 이후로 정지된 시간의 연속이다. 다만, 우리는 그 침묵 속에서 피어오를 희망을 기대하고 기다린다. 안식일이 끝나기만을 기다려서 무덤에 찾아가려 했던 여인들처럼 말이다.

그러나 이 부재와 결핍에 따른 침묵은 우리 인간의 몫일 뿐이다. 성서(1베드 3:19)와 전통(사도신경)은 성 토요일에도 예수님께서 그 구원의 사건을 우리가 알 수 없는 지하 세계에서도 펼치셨노라고 증언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느끼는 부재와 절망 속에서도 예수님께서는 그 구원의 위업을 멈추지 않으신다. 하느님께서는 되찾아야 할 하느님의 자녀를 위해 여전히 일하시는 분이시다. 이런 이해를 통해서라야 우리는 정교회 이콘 전통이 보여주는 부활의 신학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Icon_large.jpg

현대의 이콘 – 음간(하데스)에서 아담과 하와를 이끄시는 부활하신 예수님

죽음에 관한 잡스런 교차 읽기 – 홀바인, 모차르트, 콜린스, 그리고 Ch-

Tuesday, January 31st, 2012

어떤 사건에 대한 기억은 늘 시대와 접목하여 교차한다. 원초적 사건을 되살리는 역사로서 다양한 잡종화는 그 잡종끼리의 어울림과 메아리도 만들어 줄 것이다. 이것을 교차 읽기라고 부를 수 있을지 모르겠다.

아들 한스 홀바인(Han Holbein the Younger, ca 1497-1543)은 <<관에 든, 죽은 예수의 몸>>을 그렸다. 그의 상상력에 담긴 죽음은 죽음이 던지는 명료한 발언이다. 그래서 시신은 여전히 눈을 뜨고 어딘가를 바라보고, 손은 다시 어딘가를 지시한다. 물론 그 발언의 내용과 지시 대상은, 그 사건을 기억하는 이들과 그 방식에 따라 다를 테다. 다만, 그의 리얼리즘은 역사와 동떨어진 ‘제멋대로’의 상상력과 해석을 제한한다.

Holbein-Dead-Christ.jpg

이러한 리얼리즘의 상상력과 그 제한 기능은 의례화의 정점에서 종종 교리 속에 묻히곤 하는 ‘그리스도의 몸'(Corpus Christi)에 대한 해석과 교리를 해방하고 확장하도록 돕는다.

Ave Verum Corpus

진실한 몸을 경배하나이다.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나신 몸
인간을 위해 십자가 위에서
모진 수난으로 희생되신 몸
찔린 옆구리에서 물과 피가 흘렀으니
우리가 죽음의 심판에 들 때에
[이로써 천상 잔치를] 미리 맛보게 하소서.
오 사랑스러운 예수님, 오 자비하신 예수님, 오 마리아의 아들 예수님
우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cf. 모차르트, “아베 베룸 코르푸스” (지휘: 레너드 번스타인)

1960년대 이후 미국 시민 인권 운동과 함께했던 음악 풍조 가운데 하나는 단연 포크송이다. 올해 72세로 여전히 활동하고 있는 주디 콜린스(Judy Collins, 1939 ~ )는 그의 앨범 <<진실한 이야기들과 다른 꿈들>>에 <체>라는 노래를 짓고 불러, 1967년 죽음을 맞이한 체 게바라를 기렸다.

체 Che

어느 날 아침 볼리비아에서
빨치산의 지도자와 그의 동지 두 명은
살아남기 위해 산으로 도망쳐야 했으니

푸른 숲과 먼지 덮인 마을을 거쳐 작은 길을 따라서
그들이 바삐 지나갈 때, 가난한 마을 사람들은 웃음 지으며 소리쳐 응원했으니
예수께서 불러 모든 이들에게 말씀하셨으니, “우리가 떠난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총으로 우리를 겁주려는 놈들이 있지만, 우리는 돌아올 거에요.”

멈추지 말고 그대의 일을 계속해요
멈추지 말고 그대의 발언을 계속해요
그대는 그걸 손에 가지고 그대의 삶에, 그대의 땅에 전해 줘야 해요

사람들은 웃음 지으며 소리쳐 응원했으니
그들이 잠시 달아나는 동안
일어서서 바라보던 그들, 쉴 수 없는 그들의 빈손

예수의 몸은 지프 차에 있었으니
비행기에 다다르기 전에 폭격당한 그 차 안에

사제는 그를 축복하며 자랑스러워했으니
그날 오후 그가 남긴 것이 있었기에

멈추지 말고 그대의 일을 계속해요.
멈추지 말고 그대의 발언을 계속해요.
그대의 손에 가진 것을 그대의 삶에, 그대의 땅에 전해 줘야 해요

그대가 걸어가야 할 길을
그대에게 보여줄 수 있는 이는 아무도 없느니,
그들은 그대에게 말해 줄 뿐, 다만 보여 줄 뿐,
그리고 그들은 내일 떠나고 없으리니

성유와 유향 냄새가 이 흙집 방 안을 채우고
식탁 위에는 한 남자의 시신이 뉘어있으니
창백하고 젊은 그 얼굴, 검고 곱슬한 그 수염
저녁 불빛에 휑한 두 눈.

그를 아는 마을 사람들, 그를 죽인 사람들이 안에 서 있으니
쉴 수 없고 빈 그들의 손
그들은 허공에 침묵의 십자가를 그리는 사제를 바라보며
그들 마음에 있는 하느님께, 자신들의 영혼을 위해 기도하느니

멈추지 말고 그대의 일을 계속해요.
멈추지 말고 그대의 발언을 계속해요.
그대의 손에 가진 것을 그대의 삶에, 그대의 땅에 전해 줘야 해요.

그대가 걸어가야 할 길을
그대에게 보여줄 수 있는 이는 아무도 없느니,
그들은 그대에게 말해 줄 뿐, 다만 보여 줄 뿐,
그리고 그들은 내일 떠나고 없으리니

(작사 작곡 노래 – 주디 콜린스 / 번역 – 주낙현 신부)

cf. Pueressence, Che

이런 교차 읽기를 어떻께 향유할 것인가?

잡감 – 죽음, 종교, 그리고 잡종된 기억의 발언

Tuesday, January 31st, 2012

죽음은 발언이다. 인생이 탄생과 죽음 사이에 놓여 있으니, 죽음은 그 어떤 것이든 그 자체로 그 생 전체를 두고 던지는 마지막 발언이다. 어떤 점에서, 그 발언에 귀 기울여 기억하고 의례라는 기억장치를 통하여 되새기는 일이 종교이다. 죽음 자체에 대한 두려움을 넘어보려는 생각으로 종교가 창안되었다고 하든, 그보다 더 심오한 신학적 변증을 하든, 실상 종교는 죽음을 둘러싼 생의 종말이라는 현실이 만들어낸 그림자 아래 앉아 삶을 생각하는 틀이다. 그때야 죽음은 계속 발언한다.

역사는 이런 발언의 구성체이다. 그러므로 그 죽음을 둘러싼 발언에 대한 기억이 없는, 소위 망각의 사회는 역사를 구성하지 못한다. 되풀이되는 인간 사회의 악행은 대체로 집단적 망각에 기대어, 혹은 망각을 조장하는 이들의 농간으로 가능하다. 그러니 세상살이는 늘 기억의 정치와 망각의 정치가 겨루고 다투는 곳에 놓여 있다. 물론, 이 다툼을 초월한 곳을 종교가 가리키고 있다고 말하는 이들도 많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종교와 역사의 본연을 덮는 적극적인 이데올로기이거나, 소극적이고 무의식적으로나마 그에 부역하는 이데올로기 장치이다. 비루한 삶을 통과하지 않는 종교는 없다.

그리스도교는 죽음에 대한 기억의 종교이다. 고통받는 사람에 대한, 고통받는 사람과 연대하다가 스러진 한 인간에 대한 기억의 종교이다. 동시에, 그리스도교는 그 죽음의 발언을 역사 안에서 계속 이어나가는 종교이다. 그러나 순혈(純血)의 기억과 발언이란 없다. 늘 다른 사건으로 겹쳐지고 오염되는 잡종화 과정에서 오히려 그 기억과 발언은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잡종화를 통한 기억의 진화를 거부하는 순혈복원주의가 수구적 정향과 급진적 해석이라는 두 극단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성서 축자주의는 이런 수구적 교리주의의 행동 방식이고, 성서의 ‘역사적 비평’은 종종 축자주의에 대한 반 명제를 넘지 못하는 지식인의 오락거리가 되기도 한다.

한편, 잡종화에 대한 고민은 명확한 선을 그어주지 못하니, 분명한 전선 형성에 도움을 주기 어렵다. 다만, 종교는 논증과 설득과 전선 형성이 아니라, 생에서 맞닥뜨리는 크고 자잘한 사건이 역사 속의 기억과 발언과 나누는 유비(analogy)를 제공할 뿐이다. 그러니 종교는 이러한 유비의 상상력을 부추기고, 그 상상력 체험의 시공간을 마련해 주는 틀이다. 이때, 삶과 죽음에 대한 기억과 죽음 자체가 남겨놓는 발언은 인간적이며 신적이다. 삶에 뿌리 내린 인간의 죽음이라는 종말적 전이(transitus)에 놓이기 때문이다. 적어도 그리스도교 신앙 안에서는, 신-인적 상상력과 기억은 무수한 죽음의 발언과 원초적 성사인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이 남긴 발언을 교차시키는 것이다. 이 작업을 그치면, 신학과 교회는 교권적인 이데올로기 장치라는 혐의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이런 신-인적 상상력과 기억은 그 과정만큼이나 잡종적인 형태를 무수히 만들어 낸다. 다만, 그 잡종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예술적 미(美)일 것이다. 찰나와 억겁을 교차시키는 작업으로서 예술, 그 지속되는 발언을 부추기는 가치로서 미를 생각한다. 특히 종교 안에서 의례와 그와 관련된 예술은 이런 잡종적인 예술과 미를 마련하고 실험하는 무대가 될 수 있을지 모른다. 또 그것들이 마련하는 시공간에서 자신의 삶을 접목시키는 일이 신앙 훈련이요, 영성 수련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이런 잡감은 늘 행간이 넓고 서로 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