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자일등 – 고귀하게 빛나는 신앙

Sunday, November 8th, 2015

빈자일등 – 고귀하게 빛나는 신앙 (마르 12:38~44)1

Nanta_One_Lamp.png

‘빈자일등 장자만등’(貧者一燈 長者萬燈)이라는 불교 일화가 있습니다. 지금의 인도 지역 ‘사위국’에 ‘난타’라는 여인이 살았습니다. 가난하여 거리에서 잠자며 밥을 빌어먹어야 했습니다. 어느 날, 연등회 준비가 한창인 것을 본 여인은 자신도 부처님께 등잔 하나를 바쳤으면 했습니다. 여인은 구걸하여 얻은 동전 두 닢으로 기름을 사서 등잔에 부어 불을 밝혔습니다. 그 등잔은 부자들이 바친 것에 비해 너무도 초라했습니다. 밤이 깊어지자 등불이 하나둘 꺼졌습니다. 그런데 모든 등불이 다 꺼진 뒤에도 그 여인의 등잔은 꺼지지 않고 더 환하게 빛났습니다. 손을 휘젓고 입으로 불어도 꺼지지 않았습니다. 이에 부처님이 이렇게 말씀하셨다 합니다. “비록 보잘것없는 작은 등잔이지만, 마음 착한 여인이 온 정성을 다해 바친 등잔인 탓이다.” 부자들이 올린 만개의 등은 모두 꺼졌지만, 가난한 ‘난타’가 바친 등잔은 꺼지지 않았습니다.

어느 종교에서든 신앙의 도약은 자신이 가장 소중하다 여기는 것을 포기하거나 바칠 때 일어납니다. 오늘 엘리야가 만난 사렙다 여인의 환대와 예수님께서 목격한 가난한 과부의 헌금에서도 확인하는 진실입니다. 게다가 그 포기와 봉헌에는 자신을 드러내려는 마음이 없습니다. 끝까지 내려간 절망의 순간에서 나온 연민이 더욱 크게 빛납니다. 사렙다 과부는 쫓기다 지친 낯선 예언자를 안타깝게 여겨 자기 집에 모셨습니다. 자신의 마지막 밥을 지어 낯선 사람을 대접했습니다. 자신과 아들이 지상에서 누릴 마지막 기쁨마저도 남루한 손님을 환대하며 내놓았습니다. 그 여인이 어떤 보상을 기대했다는 인상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축복은 기대하지 않고 베푸는 자비의 실천과 포기의 신앙에 선물로 다가옵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자비와 연민의 종교적 행동을 사회와 정치에 깃든 신앙의 차원으로 안내하십니다. 부자의 헌금과 과부의 헌금을 크게 비교하시며 우리 삶을 정확히 보라는 말씀하십니다. 오늘 복음은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의 파괴를 예언하시고 당신 스스로 수난과 죽음의 길을 걷기 시작하시기 직전에 나옵니다. 무너져야 할 질서와 종교 행태를 드러내시는 한편, 새롭게 세워져 부활해야 할 질서와 신앙의 행동을 열어주십니다. 무너져야 할 질서는 분명합니다. 율법학자들은 지금의 판사나 검사, 대학교수, 고위성직자를 포함하는 직업군입니다. 이들의 지위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는 뜻이지만, 권력과 재산을 향한 욕심으로 책임을 무시하곤 합니다. 게다가 이들은 과부 같은 가난한 사람의 등을 쳐서 자신의 탑을 쌓습니다. 이들은 예수님의 말씀대로 “그만큼 더 엄한 벌”을 받으며 무너져야 합니다.

새롭게 세워야 할 삶의 질서와 신앙은 작은 사람의 헌신에 있습니다. 신앙인은 오히려 실패한 사람, 가난한 사람, 사회에서 차별받는 사람에게서 부활의 삶을 미리 봅니다. 신앙인은 세상이 부러워하는 성공과 성취와는 거리가 먼 삶을 한탄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주위의 작은 사람과 사물에 깊은 연민을 지닙니다. 신앙인은 자신이 사랑하는 것을 먼저 포기하고 내어주면서, 끝까지 밝게 빛을 발합니다. 이것이 새로운 삶을 여는 고귀한 신앙입니다.

Widow_Sarepta.jpg
(엘리야와 사렙다의 과부 – 베르나르도 스트로찌, c. 1640-44)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1월 8일 연중32주일 주보 []

하느님 나라 – 모든 성인의 감사 잔치

Sunday, November 1st, 2015

All-Saints-Day-icon.png

하느님 나라 – 모든 성인의 감사 잔치 (마태 6:25~33)12

성찬례의 어원은 ‘감사’를 뜻하는 ‘유카리스티아’입니다. 성공회는 이 뜻을 잘 알아서 예전부터 성찬례를 ‘감사제’로 불렀습니다. 2004년 기도서 이후로 우리는 말씀과 성찬을 함께 나누며 감사와 찬양을 드리는 예배를 ‘감사 성찬례’로 부릅니다. 성서와 교회의 전통을 잘 헤아린 표현입니다.

‘감사 성찬례’는 예수님의 삶과 죽음과 부활에 드러난 구원 사건을 아우르는 잔치입니다. 배고픈 이들을 배불리 먹이신 음식 기적은 교회가 어떤 사람들에게 먼저 눈을 돌려 어떤 일을 실천해야 하는지 보여줍니다. ‘죄인들과 먹고 마시기를 즐기는 사람’이라는 힐난을 들었던 예수님은 당신의 식탁에서 누구도 배척하지 않으셨습니다. 성 목요일에 제자들과 나눴던 마지막 저녁 식사는 당신의 몸과 피를 나누듯이 신앙인의 삶이 다른 사람을 향한 희생과 헌신이어야 한다는 간절한 부탁입니다. 예수님의 죽음에 절망하여 엠마오로 낙향하던 제자들이 낯선 나그네를 만나 동행하며 그의 ‘말씀’을 듣고 ‘음식’을 나눌 때 부활한 예수님을 깨달았던 사건은 그 자체로 성찬례의 구조입니다. 초대 그리스도인들은 이 모든 일을 기억하며 하느님께 감사와 찬양으로 성찬례를 드렸습니다.

오늘 이사야 예언자는 이 구원의 잔치를 미리 노래했습니다. 보잘것없는 사람들을 높이시고 누구 한 명 예외 없이 ‘모든’ 사람을 초대하여 베푸신 잔치입니다. 나라 잃고 헤매던 이들을 거룩한 산으로 초대하여 ‘연한 살코기’와 ‘맑은 술’의 잔치를 베푸십니다. 삶 속에 겪은 상처와 아픔, 실패와 좌절 때문에 고개 숙일 필요 없다며, 잔치의 당당한 손님으로 환영하십니다. ‘살코기와 술’로 마련된 예수님의 성체와 보혈을 먹고 마시며, 그 넉넉한 환대에 감사하고 찬양하면서 흥을 누리는 잔치가 바로 성찬례입니다.

요한 묵시록은 이 잔치가 여는 ‘새 하늘과 새 땅’의 꿈을 노래합니다. 하느님의 구원 잔치는 몇몇 사람과 특정한 지역에서만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오히려 눈물과 슬픔과 고통에 있는 이들을 먼저 일으키시어 아름다운 ‘신부’로 높이 삼아 사랑해 주십니다. ‘신랑’이신 예수님과 ‘신부’인 교회가 누리는 혼인 잔치에서 우리 신앙인은 모두 ‘신부’처럼 아름답고 귀한 존재입니다. 이 잔치에서 우리 수고의 땀방울이 포도주와 떡으로 결실을 맺고, 우리 아픔의 눈물은 그리스도의 성체와 보혈로 거룩하게 됩니다. 이 아름다운 변화 속에서 우리는 하느님께서 주시는 새로운 생명을 먹고 마시는 사람이 됩니다.

오늘 우리가 기념하는 ‘모든 성인들’은 오늘 이곳에 모인 ‘모든 교우들의 얼굴’입니다. 하느님께서 마련하신 구원의 잔치에 초대받은 우리는 “솔로몬의 옷보다 화려한 꽃 한 송이들”입니다. 모든 성인과 모든 교우가 모인 교회는 있는 그대로 저마다 다채롭게 피어올라 서로 어울려 다른 색깔을 축하하고 보살피는 장엄한 꽃들의 정원입니다. 이 정원에서 펼쳐지는 환대와 친교의 잔치가 감사 성찬례입니다. 이 성찬례 안에서 하느님께 감사와 찬양을 드리며, 우리가 서로 귀하게 여기고 서로 고마워하며 누리는 새로운 관계가 우리가 구하며 맛보는 하느님 나라입니다.

Multicolored-flowers.jpg

  1. 1,2 독서와 시편은 모든 성인의 날, 복음은 추수감사절 복음 []
  2.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1월1일 모든 성인의 날, 모든 교우의 날, 추수감사절 주보 []

예수 – 평등한 은총과 영광의 손길

Sunday, October 4th, 2015

예수 – 평등한 은총과 영광의 손길 (마르 10:2~16)1

메말라 굳어진 마음은 금세 푸석푸석해져서 부서지기 쉽습니다. 본래 깊은 신앙 체험에서 나왔을 아름다운 고백과 신념도 남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면 고집과 아집으로 변하기 쉽습니다. 자신과 신앙을 지키려는 선한 의도의 굳센 다짐도 세월이 흐르고 상황이 바뀌면 유연함이 떨어지고 외로워지고 맙니다. 열린 마음은 이 변화와 한계를 받아들이는 태도입니다.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흐르는 세월과 변화하는 사회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솔직하게 식별하면 억지로 자기를 세울 일이 없습니다. 무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한계를 인정할 때 오히려 다른 이의 도움이 필요한 사실을 알게 되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새로운 힘으로 또 다른 삶의 순례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이 점에서 보면, 오늘 복음 이야기는 이혼 문제를 훌쩍 뛰어넘습니다. 혼인은 사랑하는 두 사람이 만드는 가장 아름다운 인간관계의 표현입니다. 그런데 바리사이파는 상대방을 “버려도 좋은 존재”로 여기는 질문을 던집니다. 그것도 덫을 쳐놓고 “속을 떠보려”는 행동입니다. 이런 질문과 행동은 모두 자기 자신의 굳어진 기준으로 다른 사람을 걸고 넘어뜨리려는 태도입니다. 예수님의 대답은 단호합니다. “창조 때” 마련된 관계, 곧 서로 사랑하고 존중하고 품는 삶을 회복하는 일만이 우리 삶의 기준입니다. 오늘날 이혼 문제를 판단하는 기준도 바로 이것입니다.

예수님의 선교는 굳어진 마음에 물을 주고, 닫힌 마음을 열어 넉넉한 마음의 삶을 누리도록 격려하는 일입니다. 창조 때 모습대로 우리 인간의 삶을 회복하는 일이 그리스도교 신앙의 목표입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불변하고 초월하는 진리의 실체를 알려준다고 유혹하지 않습니다. 불안하게 흔들리는 삶을 미끼로 눈먼 확신을 주지도 않습니다. 자기들끼리만 아는 비밀스러운 진리를 가르치는 일도 없습니다. 하느님의 은총을 모든 사람과 창조세계 전체가 공평하게 누릴 때 하느님 나라를 경험할 수 있다는 확신이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입니다.

예수님께서 어린이를 안아 축복하십니다. 오늘날과 달리 예수님 당시 어린이는, 있으면 불편한 존재, 짐이 되는 이, 보살핌이 없으면 혼자 설 수 없는 사람을 상징합니다. 어린이를 향한 축복은 하느님 은총의 평등함을 보여주시는 사건입니다. 신앙과 은총을 독점하여 다른 사람의 접근을 막는 ‘제자들’을 향하여 예수님은 “나무라시고 화를 내십니다”(13,14절). 그 처지와 상태가 어떻든 모든 사람을 향해 긍정하고 받아들여, 그들을 사랑받아야 할 존재로 확인해 주시는 예수님이십니다. 우리를 형제자매로 부르시는 주님이십니다. 마침내 하느님께서는 예수님 안에서 우리의 삶을 들어 올려 영광과 구원의 자리로 이끄십니다. 그러니 히브리서의 감사 노래는 이제 우리의 찬양이요,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내밀어야 할 손길의 확인입니다.

“인간이 무엇이기에 주님께서 그를 잊지 않으시며, 사람의 아들이 무엇이기에 주님께서 돌보십니까?”

jesus-and-child.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0월 4일 연중27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