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해 본 질문과 도전 – 미국 성공회를 향해서

Monday, April 4th, 2011

세계 성공회 안에서 이어지는 여러 논란에 대한 내 생각은 이 블로그에서 여러 번 말했다. 그 전개가 예상을 빗나가지 않으니 이전에 적은 관전평과 판단도 그대로다. 그러니 더 적을 생각을 하지 않는다. 그런데 당사자들과 만나서 이 문제를 이야기할 때는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 성공회의 시각과 방향을 물을 때는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그저 외교적 언사로 누구 편이 되어주는 것보다는, 비판적인 질문과 도전을 던지는 일이 더 중요하겠다. 짧게 주어진 시간이라면 구체적이지는 않더라도, 문제의식과 그 방향을 잡고 질문하고 도전했으면 한다. 그것이 서로 도우며 자라는 방법일 수도 있다. 그 가운데 자신의 원칙도 정리할 수 있고, 자기비판의 근거와 방법으로도 삼을 수 있겠다. 미국 성공회를 향해서, 특히 주교원에서 발언한다면 이런 내용을 희망해 본다. (발뺌: 다른 이의 위치와 입을 가상하여 급하게 ‘초안’한 생각일 뿐이다.)

여러분도 아시고, 계속해서 기도하시는 바와 같이, 일본과 일본 성공회가 겪고 있는 희생과 고통을 깊이 느끼며 이 자리에 섰습니다. 일본에 있는 사람들과 일본 성공회를 위해서 계속 기도해 주시고 지원해 주십시오. 이 거대한 고통과 슬픔의 사건 속에서 피조물은 우리 인간 모두는 하느님의 크신 사랑과 용기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바로 그 하느님의 손길이 되어야 합니다.

아시다시피 일본과 한국은 고통스러운 역사적 경험을 나누고 있으며 일본이 남긴 상흔은 여전히 여기저기에 깊게 남아 있습니다. 지난 50년 동안 한국 성공회와 일본 성공회는 서로 협력하여 이 역사적 고통을 치유하고 화해하는 일에 힘썼습니다. 그 일을 시작하는 초창기에 양국의 많은 사람은 우리의 이런 화해 노력을 의심했습니다. 아직 미움과 두려움이 우리를 지배하고 있었던 탓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도 양 교회는 계속해서 양 국민의 화해와 평화를 위해서 함께 기도하며 일했고, 이제는 동북아시아 평화를 위해서 함께 애쓰고 있습니다. 십여 년 전부터 이런 우리 노력을 알아차리고 우리를 적극적으로 지원한 미국 성공회, 특히 미국 성공회 정의평화위원회의 노력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한국 성공회가 이러한 화해와 평화를 위해서 일하는 것은 바로 약자들과 고통받은 이들에 대한 관심 때문입니다. 이 관심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따른 것입니다. 한국 성공회는 한국이라는 사회 속에서 소수자로 살아갑니다. 보수적이고 거대한 여러 다른 교단들이 지배하는 처지에서 생존하기가 어려울 정도입니다. 그러나 이 작음이 우리에게는 은총이 되었습니다. 작은 이로서 우리는 작은 이들을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작은 이들 속에서 무엇보다도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의 복음을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시각을 통해서 미국 성공회와 세계 성공회의 일치 문제를 고민해왔습니다. 한국 성공회 주교원은 이미 ‘성공회 계약”(the Anglican Covenant) 문서에 대해서 주교원의 생각을 세계 성공회 사무소에 전달했습니다. 한국의 주교들은 어떤 ‘문서’로 우리의 신앙을 제한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 계약 문서가 “고전적인 성공회 전통”(classical Anglican tradition)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런 계약 문서가 누군가를 배척하는 근거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리스도 자신이 배척당하신 분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동성애자와 같이 사회에서 배척당한 이들을 포용하는 여러 교회의 선교와 사목은 그리스도의 선교와 사목에 근거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미국 성공회는 그 대가로 분열의 아픔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포용과 환대의 사목과 선교는 타협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약한 자들과 함께 하는 선교이기 때문입니다. 이 점에서 여러분과 깊은 연대의식을 나눕니다.

아시아와 세계 성공회의 작은 교회로서 여러분에게 이런 질문과 도전을 전달하고 싶습니다. 그 원칙은 힘없는 이들에 대한 경청입니다.

첫째, 세계 성공회 안에서 미국 성공회는 세계의 힘없는 이들과 함께 했습니까? 특별히 미국이라는 제국이 전 세계를 지배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 불의를 저지를 때, 미국 성공회는 어디에 있었습니까? 비록 오해이긴 하지만, 세계의 많은 사람은 미국과 미국 성공회를 구별하지 못합니다. 슬픈 일입니다. 정의와 평화를 위한 여러분의 노력을 무시하지 않습니다. 어떤 점에서 LGBT에 대한 미국 성공회의 실천은 예언자적입니다. 그러나 충분하지 않습니다. 수많은 예언자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부자인 예언자는 없었습니다. 세계의 많은 사람은 여러분의 노력을 부자들과 제국주의자들의 이야기로 취급합니다. 이 오해를 극복하려면 여러분은 미국이라는 제국에 도전해야 합니다. 또 이 논란을 통해서 여러분과 미국 성공회가 세계 성공회에 있는 힘 없는 이들에게 더욱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세계 성공회의 다른 이들을 더 방문하고 더 초대하며 함께 나누어야 합니다. 우리의 구원은 우리 자신이 설정한 예언자적 행동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가난하고 힘없는 이들 가운데서 일하시는 하느님에게서 옵니다.

둘째, 우리는 지금 누구에게 귀를 기울이고 있습니까? 윈저 위원회가 요구한 핵심적인 내용은 “잠정중지”조치가 아닙니다. 가장 핵심은 경청 과정(listening process)입니다. 그런데 이때 누구에게 귀를 기울여야 합니까? 세계의 주교들에게 귀를 기울여야 합니까? 몇몇 유명한 신학자들에게 귀를 기울여야 합니까? 아닙니다. 힘없는 이들입니다. 목소리가 없는 이들입니다. 미국에 앉아서 그들의 목소리를 듣기 어렵습니다. 다른 나라의 주교들을 통해서는 그들의 목소리를 듣기 어렵습니다. 그 힘없는 이들의 목소리는 첩첩이 숨겨져 있습니다. 복잡한 연유로 싸인 겹을 어떻게 펼쳐서 그들의 목소리를 들으시겠습니까? 우리는 더 깊이 투신해야 합니다. 더 많이 관여해야 합니다. 여러분이 미국의 소수자 문제에 집중하는 만큼 세상의 힘없는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한국 성공회와 더불어 여러 다른 나라 성공회는 세계 성공회가 필요합니다. 세계 성공회는 함께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어 측은지심과 사랑을 실천하는 연대의 네트워크이기 때문입니다. 그 안에서 우리는 고통과 기쁨을 함께 나누기 때문입니다. 그 안에서 우리는 세계의 힘없는 이들, 그리고 힘없던 예수 그리스도와 연대하기 때문입니다.

한국 성공회는 “성공회 계약”에 대해서 어떤 결정을 내릴 수 있을지 아직 모릅니다. 작은 교회로서 갖는 두려움과 염려가 우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결정과 상관없이 한국 성공회는 계속해서 우리의 선교를 계속할 것입니다. 그것은 여전히 작은 이들과 배척받은 이들과 함께 하는 선교와 사목입니다. 그리고 이 길을 걷는 모든 이들과 언제라도, 어디서라도, 어떤 조건에서라도 우리의 연대를 포기하지 않을 것입니다.

별난 “성찬기도”

Monday, March 21st, 2011

힘없는 이들, 억압받는 이들, 별난 이들을 위한 성찬기도

Eucharistic Prayer for the Powerless, the Oppressed, the Unusual

매릴린 맥코드 애덤스 (영국 성공회 사제, 신학자)

(대화)

+ 우리 하느님께서 여기 계시니
# 하느님의 영이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 그대 마음의 문을 여십시오.
# 하느님께 마음을 열고 서로에게 마음을 엽니다.
+ 우리의 벗이요 우리의 사랑인 하느님을 만나러 여기에 모였으니
# 하느님을 사랑하는 일은 언제나 어디서나 좋은 일입니다.
+ 형제자매들과 함께 하느님을 사랑하는 사람으로 사는 일은 언제나 어디서나 좋은 일입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과 벗 된 이들과 하느님을 먹였던 이들과 하느님과 논쟁했던 이들과 하느님을 어루만진 이들과 하느님에게 화난 이들과 하느님의 얼굴을 본 이들과 오직 자기 방식대로만 하느님을 만나기 위해서 하느님을 떠났던 이들과 더불어, 우리는 주님을 찬미합니다.

(다함께)

거룩하시고 거룩하시며, 연약하신 하느님
사랑과 기쁨의 하느님
하늘과 땅에 주님의 축복이 가득하니,
우리와 늘 함께 하소서
우리 하느님 이름으로 오시는 분,
우리 마음을 기쁘게 하시는 분
찬미 받으소서.

(집전자)

힘없는 이들과 억압받는 이들과 별난 이들을 위한 하느님,
주님의 특별하신 사랑에 우리가 찬미하나이다.

주님의 성령꼐서는 깊은 곳을 뒤엎으시는 바람을 내시고
주님의 말씀은 혼동을 창조 세계로 만드셨으니,
주님께서 이를 보시고 ‘참 좋다’고 하셨습니다.
주님께서는 포로가 되고 노예가 된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어
주님 백성으로 만드시고 하느님 백성이라는 이름을 주시어
이름 없는 이들을 특별한 이들로 삼으셨습니다.

주님께서는 광야와 같은 곳에서도 살 수 있도록 가르치셨으며,
누구도 알지 못했던 만나로 우리를 먹이셨습니다.
바위를 깨뜨려 물을 내시어 우리의 목마름을 축이시고
놀랍게도 주님의 지극한 신뢰를 우리에게 거듭하여 보여 주셨습니다.

주님께서는 우리를 위해 마련하신 땅으로 우리를 이끄시어
그 공간 속에서 모든 이들이 함께 성장하고 펼쳐서 창조하고 사랑하며
주님의 이름을 찬미하는 거룩한 공동체가 되게 하셨습니다.

주님의 아버지 같은 이끄심과 어머니 같은 가르침을
포로가 된 이들과 낯선 이들이 받아들이도록 하시어
약하고 가난한 이들을 보살피며,
병든 이들과 노인들을 찾게 하셨습니다.
이 모두가 주님 사랑의 표지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집트에서 노예였던 사실을 잊고
다른 나라들처럼 모진 마음을 품고
우리 자신의 편의만을 위하여 세계를 조직하고
가진 것 없는 이들 위에 군림했으며
부족한 사람들, 우리와 다른 사람들을 더러운 이들이라며 배척했습니다.
역사 속에서 주님께서 보내신 예언자들은 배신자로 배척당했습니다.
포로가 되고 고생할 때는 잠시 깨달았으나
우리는 늘 다른 사람들에게 우리의 문을 닫아걸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반역은 주님의 꿈을 이길 수 없었으니
주님께서는 배척당한 자로, 불법체류자로, 쫓겨난 자로 우리 안에 오셨습니다.
주님께서는 나병 환자와 피 흘리는 여인을 어루만지셨으며,
세리들과 어울려 먹고, 창녀들을 회복시켜 주셨습니다.
고통당하는 이들을 고치시고, 절망에 싸인 이들을 가르치셨으며
불안하도록 부족한 이들을 제자로 선택하셨고.
동서남북의 모든 이들을 어린 양의 혼인 잔치에 초대하셨습니다.

우리를 위해 죽기 전날 밤,
주님께서는 빵을 손에 드시고, 감사를 드리신 다음, 떼어
주님의 벗들에게 주시며 말씀하셨습니다.
받아 드십시오. 이는 그대들을 위하여 주는 내 몸입니다.
나를 기억하여 이를 실천하십시오.
식사 후에, 주님께서는 잔을 드시고,
감사를 드리신 다음 그들에게 주시며 말씀하셨습니다.
그대들 모두는 이를 받아 드십시오. 이는 새로운 언약의 내 피이니,
그대들과 모든 이들의 죄를 용서하기 위하여 흘리는 것입니다.
마실 때마다, 나를 기억하여 이를 실천하십시오.

주 하느님을 기쁘시게 하려는 열망 속에서,
주님의 벗인 우리를 위한 주님의 죽음을 기억하며,
우리의 담대한 새 삶인 주님의 부활을 소리 높여 외치니,
고우신 예수님, 오시어 우리 얼굴을 마주하며 껴안아 주십시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세계에서 난 선물인 이 빵과 포도주로 식탁을 마련하니
이것은 모두 우리와 살다가 에이즈로 죽어간 우리 형제자매이며,
우리가 만들어낸 실망과 실패이며,
우리가 고통받은 상처들이며, 우리가 만들어낸 슬픔입니다.
주님의 성령으로 이것들이 우리를 위한
생명의 빵과 구원의 잔이며,
주님의 몸과 피가 되게 하소서.
그리하여 이 세계 안에 있는 주님의 몸으로 사랑하게 하소서.

주님의 거룩한 가족을 기억하시며, 특별히 이 교회를 기억하소서.
영사기가 멈춘 이곳을 주님을 향한 찬미로 채운 그 설립자들입니다.
용감한 필리핀 사람들, 라틴 아메리카 사람들이 이 새로운 땅을 시작했으며,
게이와 레즈비언이 새로운 정체성을 얻게 되었으며,
교회에서 상처받고 쫓겨난 별난 이들이
주님의 입맞춤이 주는 힘과 주님 사랑의 힘을 찾았습니다.

우리를 과거와 미래의 모든 성인과 연대하게 하시고
우리를 내보내시어
다른 사람들을 도와 그들이 하느님의 자녀임을 깨닫게 하소서.
주님의 교회와 도시와 이 지구를 변화시키시어
주님의 사랑처럼 넓고 깊은 공동체가 되게 하소서.
아멘.

Marilyn McCord Adams, “Eucharistic Prayer for the Powerless, the Oppressed, the Unusual” [Eucharistic prayer] —Equal Rites: Lesbian and Gay Worship, Ceremonies, and Celebrations, ed. Kittredge Cherry and Zalmon Sherwood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1995), 111–113.

(번역: 주낙현 신부)

성찬례의 신비, 바로 그대들이니

Saturday, February 19th, 2011

교회란 무엇인가?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과 부활의 사건을 기억하며, 이 사건을 ‘지금 여기’에서 경험하고 서로 변화하는 예배 공동체이다. 그 공동체의 행동 양식은 성찬례이다. 그 안에서 무엇이 변화되고 무엇이 봉헌되는가? 예배 공동체로 모인 교회 그 자신이 변화되고 봉헌된다. 그대들이 영하는 것은, 축성된 바로 그대들이니. cf. 성찬례와 교회 공동체

그리스도의 몸을 이해하고 싶다면, 사도 바울로가 신앙인들에게 하신 말씀에 귀 기울이십시오. ‘그대들은 그리스도의 몸이며, 한 사람 한 사람은 그 지체입니다'(1고린 12:27, 로마 12:5). 그대가 바로 그리스도의 몸이요, 그 지체입니다. 그러므로 주님의 식탁에 높인 그 신비는 바로 그대들 자신입니다. 그대들이 받아먹는 그 신비는 바로 그대들 자신입니다. 영성체 때, 사제는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말하고, 그대들은 “아멘”이라고 대답합니다. 그대들이 ‘아멘’이라고 말할 때, 그것은 ‘예, 그것은 저입니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몸 일부가 되십시오. 그때에 그대들의 ‘아멘’은 이루어집니다.

이곳에 그대들이 따로 가져올 것은 없습니다. 사도께서 성사에 대해 하신 말씀에 귀 기울여 봅시다. ‘빵은 하나이며, 우리가 비록 여럿이지만, 모두 한몸입니다'(1고린 10:17). 이를 깨달아 기뻐하십시오. 일치와 진리와 성실과 사랑이 여기에 있습니다. ‘한 덩어리의 빵.’ 이 한 덩어리의 빵은 무엇입니까? ‘우리는 여럿이지만 모두 한몸입니다.’ 되새기십시오. 빵은 곡식 하나로만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여러 재료로 만들어야 합니다. 구마 예식을 통해서 그대들은 밀처럼 가루가 됩니다. 세례를 받을 때, 그대들은 부풀어 오릅니다. 성령의 불을 받아서, 그대들은 구워집니다. 그대들이 보는 것, 그 자체가 되십시오. 바로 그대들을 영하십시오.

St. Augustine of Hippo, Sermon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