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종교와 영성이 충돌할 때
Wednesday, April 18th, 2012로완 윌리암스 캔터베리 대주교의 10년을 돌아보는 글에서 적은 바 있거니와, 그분의 놀라운 영성과 지성이 세계 성공회 안에서 일어난 갈등을 극복하려던 대주교직 수행과 빗나갔던 사실은 여전히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 아쉬움과 낭패감의 원인은 여럿이겠지만, 나는 그분이 평소에 주장하던 예언자적이고 복음적인 삶에 대한 초월적 영성이, 제도의 일치라는 오래된 관념과 관습에 짓눌린 탓이라고 보았다. 게다가 세계 성공회의 식민적 유산과 그 역사에 대한 세심한 식별과 분석을 간과한 점도 지적했다.
미국 성공회의 신학자이자, 미국 종교 및 교회 현상을 연구하는 다이애나 버틀러 배스(Diana Bulter Bass)의 글을 소개한다. (한국에서 강연했을 때, 이분을 몇 번 소개한 적이 있었는데, 기억하시는지들 모르겠다.). 내 생각과는 약간 다르지만, 현재 서구 사회의 종교 현상의 큰 흐름으로 지목되는 “Not Religious, But Spiritual”(‘제도적인 종교인이기를 거부하고, 영성을 추구한다’)의 맥락에서 살피는 의견과 그 전개가 매우 설득력 있다.
배스는 세계 성공회의 갈등과 분열을 동성애 문제로 벌어진 교회 내 좌파와 우파의 갈등이라는 프레임으로 보는 것에 반대한다. 이런 태도는 오히려 서구 사회에 흐르는 매우 중요한 긴장, 즉 종교와 영성의 긴장을 간과한다는 것이다. 이는 곧장 리더십에 대한 옛 이해와 새로운 이해의 갈등이기도 하다.
우리 사회도 마찬가지다. 보수와 진보의 대결이 시대적 요구에서 나온 것이라 이해하더라도, 이제 그마저 제각기 자기 권력을 탐하는 틀이 되고 말았다. 그런 점에서 문제는 닫힘과 열림이다.
한편, 배스는 이렇게 말한다.
종교 지도자에 대한 기대는 분명했다. 주교는 평신도를 지도하면서, 복종과 희생과 영웅적 신앙 행동을 촉구했다. 주교는 위에서 아래로 신앙을 명령했다. 그러나 오늘날은 전혀 다르다.
[종교뿐만 아니라] 모든 제도적 기관들은 두 패로 나뉘어 갈등한다. 한쪽에는 예로부터 익숙하고 검증된 리더십을 원하는 사람들이 있다.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통제, 획일성과 관료제가 그 특징이다. 그러나 다른 한쪽에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시대에 걸맞고 그 미래를 향한 약속을 열어주는 리더십을 원하는 사람들이 있다. 풀뿌리의 권한, 다양성, 관계적인 네트워크가 그 특징이다. 이것은 보수와 진보의 분열이 아니다. 오히려 제도와 영의 분열이다.
하향식 구조는 저물고 있다. 성공회가 겪은 갈등을 보면, 영적인 리더십과 제도적인 리더십이 분명히 구분된다. 영적인 리더십, 그 새로운 경험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새로운 기대는 기존의 관습적인 주교의 역할과는 구별되고 갈등한다.
배스는 이 문제를 로완 윌리암스 대주교에게서도 발견한다. 그는 분명히 탁월한 영성가요 신학자이다. 대주교로서 그는 세계 성공회의 “영적인 지도자”이다. 그러나 그는 성공회라는 종교 기업의 CEO로 행동하며, 사업 중심, 이익 중심, 자산 유지, 새로운 시장 개척에 관심을 두었다. 이것은 생동감 있는 영적인 공동체가 아니라 관료적인 기업체 문화이다.
배스는 영성과 제도의 갈등과 그 변화를 관찰한다.
역사의 시간 속에서 신앙은 늘 하향적이었다. 영적인 힘은 교황이나 대주교가 신자들에게 내려주는 것으로 이해했다. 사제가 경건한 신자들에게, 목사가 교회 회중에게 건네주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이제 변했다. 사람들은 영성은 하느님을 찾는 풀뿌리 모험이며, 진정성을 담은 통찰과 영감의 여정이라고 이해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런 일은 제도적인 교회나 회당, 사원에서 일어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영성은 아래부터의 신앙을 표현한다. 그런 점에서 기존의 신학과 관습에 늘 맞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두려운 나머지, 세계 성공회를 포함한 많은 제도적 종교들은 이를 명령과 통제로 고치려 한다. 그리고 그 조직을 더욱 위계적인 권위주의로 몰아가고,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봉사하고 섬기는 열망에는 응답하지 않는다. 이러면 제도적 종교는 더더욱 어려워지고 쇠퇴할 수밖에 없다.
[위기의 본질은 무엇인가?] 더 나은, 더 정의로운, 더 평화로운 세계에 대한 열망이 큰데도, 교회라는 제도, 국가, 경제가 이런 열망에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새로운 영성과 제도에 놓인 틈이 문제다. 이 틈을 메꾸고 그 제도적 기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사람만이 새롭게 등장하는 문화 경제의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
사실 영적 쇄신은 곳곳에서 이미 일어나고 있다. 기존 교회와 기존 신자들이 관습에 사로잡혀 그것을 발견하지 못할 뿐이다. 그동안에 제도로서 종교와 교회는 죽어간다.
이 시대에, 영적 쇄신은 벗들과 신뢰를 나누고 서로 배우는 대화 속에서 일어난다. 새로운 일은 거리에서 커피숍에서, 지역의 작은 공동체에서 일어나고, 정의와 사회 변화를 위한 운동에서 일어난다.
이런 평가와 전언은 세계 성공회와 로완 윌리암스 대주교를 향한 것만은 아니다. 바로 우리 교단, 우리 교회, 그리고 성직자인 나 자신을 향한 것이다.
한편, 풀뿌리 영성에 대한 배스의 낙관을 그대로 우리 교회와 사회에 적용하기를 나는 주저한다. 유행처럼 번지는 영성에 대한 관심은 실제로는 개인주의에 들러붙은 영성주의(spritiualism)의 혐의가 짙기 때문이다. 이것은 권위적인 제도만큼이나 복음적 가치를 해친다. 게다가 풀뿌리의 주인공인 신자들도 여러모로 자신을 돌아보아야 한다. 정말로 깊고 풍성한 풀뿌리 영성을 키워내지 않고 또 다른 관습적 신앙 체험을 무기 삼아 섣불리 권위를 부리지는 않는지 생각해야 한다. 그 안에 또아리 튼 관료주의와 권위주의, 관습주의, 세대주의도 교회를 망가뜨리기 때문이다. 우리 교회에 만연한 현상이다.
이는 변화의 기로에 서서 새로운 지도자를 선택해야 하는 모든 사회와 교회가 씨름해야 할 문제이다. 수구의 탐욕이 새로운 시대를 열리도 만무하지만, 진보연하는 수사와 이미지 뒤에 여전히 만연한 관료주의와 타성으로도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